-
경기지역 친환경 가을감자 품종 선발
과제구분 |
기본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경기지역 친환경 감자 종합생산기술 개발
|
친환경농업 |
′23~′26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장재은 |
경기지역 친환경 가을감자 품종 선발
|
친환경농업 |
’23~’24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장재은 |
색인용어 |
경기지역, 친환경 가을감자, 품종 선발
|
-
- □ 연구 목표
- 경기도의 감자 재배면적은 2024년 1,473ha, 생산량은 40,141톤이었으며, 도내 친환경 감자는 학교급식 친환경 농산물 출하량 1위로 2022년 2,680톤 계약되었으나 2,090톤이 납품되어 이행률이 78%로 낮았고 2024년에는 2,570톤이 납품되어 이행률이 95%로 높아지는 등 기상에 따른 수확량에 편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재배기술이 필요하다(경기친농연, 2024). 국내 감자 재배작형 비율을 살펴보면 봄재배가 63%, 여름재배 16%, 가을감자 14%, 그리고 겨울시설재배가 7%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이 등, 2024; 최 등, 2023). 도내 친환경 감자는 현재 봄 감자 위주로 대부분 수미 품종을 재배하고 있으며 봄, 가을로 재배시기를 분산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수확기 피해에 대처하고 신선 농산물 공급을 위해 고온기에도 출현율이 높고 생리장해가 적고 병해충에 저항성이 있는 경기지역 적합 가을감자 품종선발 및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권 등, 1997; 홍 등, 2004).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중심으로 가을재배용 감자 품종 고운, 새봉, 금선, 은선 등의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이 육성되어 있으며, 가을감자는 첫서리를 기준으로 수확하기 때문에 충분한 생육기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조, 2006). 최근 가을감자 파종기인 8월 중하순은 고온, 늦장마, 태풍으로 씨감자의 부패가 많아 포장 출현율 확보가 매우 어려우므로 기후변화 및 연작장해 등으로 인한 수량감소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나아가 적합 품종, 기후변화 대응 재배기술, 병해충 방제 등 친환경 감자 종합생산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내 친환경 감자 재배 매뉴얼 개발을 통한 친환경 학교급식 기반 구축 및 친환경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으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내 친환경 감자 선도농가 재배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연구소와 친환경재배 현지농가에서 가을감자 품종 선발 현장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