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사과원 해충 종합방제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본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친환경농산물 안정 생산기술 개발

유기농업 ’21~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신민우

친환경 사과원 해충 종합방제기술 개발

유기농업 ’23~’24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신민우
색인용어

친환경 사과 과수원, 노린재, 환경패치분석, 기피오일, 기피식물

 
□ 연구 목표
경기도에서 공공급식용 사과는 약 500톤으로 수요량이 높지만, 공급량은 약 110톤에 불과해 매우 낮다(친농연, 2023). 사과의 친환경 재배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제 해충 발생과 피해를 조사하고 관리를 위한 기술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Kim et al., 2009). 주요 해충 중 노린재류는 2000년도 이후부터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여 수확이 어려울 정도로 주요한 해충이 되었다(Lee et al., 2009). 농작물의 2차 해충이었던 노린재류가 최근 두류, 과수의 중요한 해충으로 등장하게 된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겨울철이 따뜻해짐에 따라 월동량이 늘어난 점과 산림 생태계의 주 수종이 낙엽활엽수로 변화함에 따라 노린재류의 월동처를 제공한 점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Bae et al., 2008). 노린재류 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종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인데, 이 종은 현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주로 아시아지역에 분포하고 있다(Kikuhara, 2005).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성충으로 월동하며 야생기주를 먹이로 1~2세대를 경과한 후 콩 등의 포장으로 유입해 들어오는 전형적인 서식처 이동성 해충이다(Mizutani et al., 2011).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년간 세대수는 지역, 먹이 조건, 조사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가까운 일본의 경우 신성충은 연 2~3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ndo et al., 2011).
노린재류의 예찰법으로는 불출법, 타락법, 그리고 집합 페로몬 트랩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Shin et al., 2012). 관행 방제 시에는 장님노린재에 대해 diazinon을 포함한 7종의 살충제가 80%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다(Lee et al., 2019). 또한, 페로몬 트랩과 끈끈이 트랩을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포획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et al., 2020). 노린재에 대한 살충 효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 친환경농자재 중 고삼 추출물을 포함한 3종은 우수한 방제 효과를 보였으나(Kwon et al., 2011), 일반 살충제에 비해 속효성이 떨어져 발생 초기 단계에서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재 친환경 재배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뚜렷한 방제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사과원에서 주변 서식 환경을 분석하여 노린재류 밀도를 예측하고, 노린재류에 기피 효과가 있는 식물성 오일과 식물을 이용하여 사과원 주요 해충인 노린재류에 대한 친환경 방제체계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