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직권등록 시험(딜 흰가루병, 고추(잎) 균핵병, 딜 거세미나방류)
과제구분 기관고유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경기도 현장애로 소면적 작물 병해충 방제용 농약직권 자체 등록시험

작물보호 ’24 환경농업연구과 유주형

딜 흰가루병 살균제 직권등록 시험(2항목)

작물보호 ’24 환경농업연구과 유주형

고추(잎) 균핵병 살균제 직권등록 시험(1항목)

작물보호 ’24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딜 거세미나방류 살충제 직권등록 시험 (1항목)

작물보호 ’24 환경농업연구과 이영수
색인용어

PLS, 소면적 작물, 병해충, 실태조사, 농약, 등록

 
□ 연구 목표
농약은 대부분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병원균, 해충, 잡초 등 다양한 생물체에 독성을 발휘한다. 하지만 이러한 농약이 작물에 살포되면 일정기간 동안 농업생태계에 잔류하게 되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농약은 그 자체로 인체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2019년부터 전면 시행된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물별로 등록된 농약 이외의 물질에 대해서는 잔류허용기준을 일률적으로 농약 불검출 수준인 0.01ppm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 제도는 미국(1960년대), 일본(2006년), EU(2008년), 대만(2008년) 등에서 이미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농약 사용에 대한 규제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소면적 작물은 1,000ha 미만으로 재배되는 작물들로 주로 채소류, 쌈채류, 약용작물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농약 업계는 경제성을 이유로 소면적 작물에 대한 농약 등록을 기피하고 있어 병해충 발생 정보뿐만 아니라 등록된 농약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그 결과, 이러한 작물들은 병해충 피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기후변화와 국제교역의 확대에 따라 외래병해충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농업인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농업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는 소면적 작물에 대한 농약 등록을 장려할 수 있도록 약효 및 약해 시험년수를 기존의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도내 주요 소면적 작물을 대상으로 병해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안전한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며, 농약 오남용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방제 효과가 우수하고 약해가 없는 농약을 등록하여 농업인들이 보다 안전하게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