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엽식물 가해 뿌리썩이선충류 발생 및 분포조사
과제구분 |
어젠다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돌발 및 검역 병해충 발생실태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
작물보호 |
’23~’24 |
환경농업연구과 |
이영수 |
관엽식물 가해 뿌리썩이선충류 발생 및 분포조사
|
작물보호 |
’23~’24 |
환경농업연구과 |
김소희 |
색인용어 |
뿌리썩이선충류, 분포조사, 관엽식물
|
-
- □ 연구 목표
- 최근 ‘반려식물’의 유행으로 소형 희귀 관엽식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하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식물류의 수입 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이후에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QIA, 2021). 이에 따라 수입을 통한 국내 고위험 외래 식물병해충에 대한 위험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 외래 식물기생선충인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으로 인해 소나무가 고사되어 산림에 큰 피해를 주고 있고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과 클로버씨스트선충(H. trifolii)으로 인해 배추의 성장 저해와 결구 불량 등 피해로 인해 공적 방제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고 있으며, 경제적 손실도 심각하다(Yi et al., 1989; Mwamula et al., 2018; Ko et al., 2021). 외래 유입 고위험 식물기생선충의 높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농업 분야에서는 검역을 제외하고 국내 발생 및 분포조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효과적인 초기 대응을 위해 국내 화훼류 육묘, 재배, 판매장 등을 대상으로 국내 유입 여부 확인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금지급 식물기생선충 침입에 대한 선제적 대책 수립을 위한 분포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도내 화원으로 유통되고 있는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외래 식물기생선충의 발생 및 정착 여부를 조사하고, 초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