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질 벼 계통육성 시험
| 과제구분 | 
기관고유 | 
수행시기 | 
전반기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 
 경기지역 적응 고품질 벼 신품종 육성 
 | 
벼 | 
’03~ | 
 작물연구과 
작물육종팀 
 | 
장은규 | 
 
| 
 고품질 벼 계통육성 시험 
 | 
벼 | 
’03~ | 
 작물연구과 
작물육종팀 
 | 
장은규 | 
 
| 색인용어 | 
 벼, 육종, 중생, 고품질, 경기15호, 연진 
 | 
 
 
 
-  
 
 
- □ 연구 목표
 
-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은 2023년 707,872ha이며, 경기도 벼 재배면적 73,187ha로 전국의 10.3% 정도를 차지한다. 경기도의 주요 밥쌀용 벼 재배품종은 조‧중생종으로 고시히카리, 해들, 알찬미, 중만생종은 추청, 삼광, 참드림 등이며, 최근 지역특화 품종으로 진상, 골든퀸3호, 꿈마지 등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추청벼가 경기도 벼 재배면적의 23.4%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재배안전성면에서 취약성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03년부터 경기지역에 적합한 밥쌀용 벼 신품종 육성을 시작하였고, 특히 추청벼를 대체하기 위한 우수한 고품질 밥쌀용 벼 품종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맛드림, 참드림, 정드림, 꿈마지, 수려미를 개발하였고, 수발아에 취약한 기존 중생 품종을 대체하고자 노력한 바, 밥맛이 우수한 중생종 신품종 ‘연진’을 육성하였기에 이 품종의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