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섯 병해발생 모니터링 및 오염진단
과제구분 |
지역특화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소득유망버섯 육성 및 부가가치 향상 기술 개발
|
버섯 |
’14~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김연진 |
버섯 병해발생 모니터링 및 오염진단
|
버섯 |
’19~’21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이채영 |
색인용어 |
버섯, 오염, 모니터링, 컨설팅
|
-
- □ 연구 목표
- 경기도에서 주로 생산되는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2020년 기준, 전국 생산량(45,724톤)의 68.7%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 주요 생산지역은 양평, 여주로 대부분의 농가는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어 시설 내에서 재배하고 있다. 버섯은 곰팡이인 균사체와 자실체로 생활사가 구분되는데, 균사체로 증식하는 배양과정 중에 푸른곰팡이(Green mold)에 의해 주로 병이 발생되며 배양 중에 병 발생은 자실체 형성에 영향을 미쳐 농가의 피해가 크다. 푸른곰팡이 주요 원인균은 Trichoderma 속, Penicillium 속, Aspergillus 속이며, 실제 버섯 재배사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원인균은 Trichoderma 속에 의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80년대말 균상재배에서 Trichoderma virens와 Hypocrea sp.에 의한 피해가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T. hazianum, T. longibrachiatum, T. koningii, T. pseudokoningii, T. atroviride 등이 보고되었다(Jhune et al., 2014). 그 중 Trichoderma virens는 포자형성의 색깔 변화(흰색에서 푸른색)가 느려 주로 감염 후기에 발견되어 피해가 심하며, T. longibrachiatum는 균사생장과 포자형성이 빠른 특성이 있다. 이들 Trichoderma 속 분류동정에 관한 최초 정립 연구는 Rifi(1969)에 의한 9종(Trichoderma longibrachiatum, T. hazianum. T. hamatum, T. viride, T. polisporum, T. koningii, T. pseudokoningii, T. aureoviride, T. piluliferum)으로 구분이었으나, 그 이후 Bessett에 의해 Trichoderma, Gliocladium, Hypocrea 속의 불완전세대 종들을 포함 다시 재분류 되었다. Trichoderma 속에 속하는 균들은 버섯에는 해가 되지만 일반적인 작물에서는 식물병원균 발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독소생성, 용해, 생육저지 등이 방법으로 생물적 방제 도구로 많이 알려져 있다(Aline et al., 2000; Cotxarrera et al., 2002; Ejechi, 1997; Elad, 2000; Heather et al., 1999a, 1999b; Tsror et al., 2001; Viterbo et al., 2002; Wheatley et al., 1997). Penicillium 속 곰팡이들은 다수의 포자 형성으로 버섯 배지 내부를 우점하여 자실체의 형성을 저해하며 포자 비산이 잘 되어 배양실 전체를 오염시켜 큰 피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Penicillium 속 곰팡이 중 P. brevicompactum의 경우 중국에서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에 심각한 푸른곰팡이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Tian et al., 2017), 일본에서는 표고(Lentinula edodes)의 종균 배양과정에서 발생된 곰팡이 피해 증상이 보고되었다(Terashima et al., 2002). 느타리버섯 생육 중에 나타나는 주요 병해는 Pseudomonas tolaasii, P. agarici에 의한 세균성 갈반병으로 발생시 갓에 갈색의 반점을 만들어 자실체의 품질을 저해하고 심할 경우에는 판매가 불가할 정도로 농가의 경제적 피해를 주기도 한다.
- 느타리버섯 재배 과정 중에 병을 일으키는 유해한 미생물인 푸른곰팡이(green mold), 세균성갈반병 원인균 Pseudomonas tolaasii, 붉은빵곰팡이 Neurospora 속 등에 대한 분류동정, 병원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농가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연구는 미진하여 경기도의 병/봉지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농가의 오염발생 현황 및 병 발생 저감을 위한 컨설팅과 모니터링,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오염도 측정 자가진단키트 제작 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