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
과제구분 |
기관고유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선인장 다육식물 시설개선 및 이용확대연구
|
화훼 |
’21~ |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재배이용계
|
정재홍 |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
|
화훼 |
’21~’23 |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재배이용계
|
정재홍 |
색인용어 |
다육식물,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다육생활
|
-
- □ 연구 목표
- 다육식물의 국내 판매액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779억원, 앤데믹 이후 2022년에는 643억원이었고(농림축산식품부, ’21~’22) 2023년 수출액은 3,257천$(농식품수출정보, 2023)로 유망한 분화식물이다. 최근 유럽의 온라인 소매 채널이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의 온라인 플라워샵 매출액은 2014년 3.9조원에서 2019년 6.9조원으로 증가하였다.(Kotra, 2020). 또한 국내 온라인 화훼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면 화훼시장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유통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65세 이상의 농업인구는 ’20년 42.3%에서 ’22년 49.8%로 늘어나고(통계청, 2022) 고령화로 인해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기 어려우며 일손이 부족하여 유통구조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본 연구는 농가 재배현황을 조사하여 상품기획, 유통매체 발굴 등 온라인 판매를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육식물 재배농가는 각 농가당 116~246종의 다양한 식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어떤 식물을 얼마나 키우고 있는지, 매출액이 얼마인지 파악하기 어려우며 판매 데이터를 축적하여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령의 농업인도 디지털로 재배 및 유통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농가경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온라인 유통매체 경험이 없는 농가를 대상으로 마케팅 교육을 실시하고 전문가와 함께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였다. 개별 농가에서 재배하는 식물만으로 상품을 구성하는데 제한이 있고 인력이 부족하여 판매채널을 운영하고 주문 및 포장 등의 유통과정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농가 단체에서 물건을 취합하여 판매상품을 구성하고 유통채널을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농가단체 선인장연구회의 온라인사업팀을 구성하고 팀을 조직하여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사업단 ‘다육생활’에서는 다육식물 판매에 특화되어 있는 유튜브 채널을 활성화 하기 위해 상품을 기획하였으며 기본 매체인 온라인스토어를 운영하였다. 다육식물 재배농가에서 유통매체 변화에 적응하고 온라인을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농가 소득의 안정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