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먹거리 다양성 확보를 위한 생산체계 개선연구
과제구분 |
기본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지속가능 농업경영 분석연구
|
농업경영 |
’21 |
작물연구과 |
이진홍 |
지역먹거리 다양성 확보를 위한 생산체계 개선연구
|
농업경영 |
’21 |
작물연구과 |
이진홍 |
색인용어 |
|
-
- □ 연구 목표
- 최근 식량안보와 먹거리 보장(food security)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건강한 먹거리 체계구축을 위해 지역 중심의 포괄적이고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방향의 푸드플랜(food plan)이 강조되고 있다. 여기서 food security는 복지적 측면과 농업적 측면에서 관점을 달리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있다. 먹거리 보장에 대한 인식변화와 함께 식량안보 확보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먹거리 생산체계 구축이 지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 생산-유통-소비 전과정 및 식생활, 영양, 안전, 환경 등 범부처 차원 통합 계획인 푸드플랜을 수립 추진하고 있으며 2018년도에 농촌형 2개소(청양, 해남), 도농복합형(춘천, 상주, 나주, 완주), 도시형(서대문구, 유성구), 광역형(충청남도) 등 지역단위 푸드플랜 구축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국정과제인 푸드플랜과 연계하여 경기도 먹거리 보장 기본 조례를 2019년 1월에 공포하고 이어서 경기도 먹거리 위원회를 출범시켜 경기도민의 먹거리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적 환경 속에서 먹거리 전략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식량안보나 지역 식량자급 정책과의 연계성이 낮은 실정이어서 향후 먹거리 자급기반 확충과 생산품목의 다양성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지역에서의 취약한 생산-소비 구조를 해결하고, 학교 등 공공급식의 지역 내 소비량 대비 생산량이 부족한 품목을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생산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급식은 지역내 생산량이 부족한 품목은 관외지역에서 생산한 품목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어 지역 내에서 취약한 생산-소비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먹거리 다양성 확보 및 생산 취약성 개선을 위한 농산물 생산 및 수요분포 특성 파악과 더불어 취약품목 발굴을 위한 먹거리 정책지도(policy support mapping)의 개발이 요구된다. 먹거리 정책지도 구축을 통해 지역먹거리 생산 취약성 개선, 다양성 확보 등 정책가이드 마련이 가능해지며 지역에서의 먹거리 자급능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농산물 생산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 주산지 정책과 맞물려 답전윤환, 밭작물 및 채소류 주산지 지정, 주산지 구조 및 형성과정 분석, 주산지의 분포특성과 집적화 유형 등 최근까지 경쟁력 분석의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다. 특히 법적으로는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4조에 의해 국내 정책의 대상인 주산지 정책에 의해 농산물 생산체계가 지역특화작목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체계로 정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관련된 대부분 연구도 과채류 품목의 주산지 구조와 지역 간 경쟁력 분석(박현태 외, 2002), 채소주산지의 집적도 분석과 그 변화양상(김현중․이성우, 2013), 주산지의 지정기준(조가옥 외, 2014), 밭작물의 분포특성과 집적화유형 분석(김홍상 외, 2016) 등 주산지의 경쟁력 관점에서의 정책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외에도 농촌진흥청(2014)은 고추, 마늘, 양파에 대한 품목별 재배현황을 활용하여 양념채소류의 주산지 변화과정 분석연구에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주산지 연구나 먹거리 전략연구와는 달리 경기도 먹거리 전략(푸드플랜)과 연계하여 도내 농산물 생산 취약성의 개선과 먹거리 다양성 확보를 위하여 먹거리 정책지도(policy support mapping)인 농산물 생산지도를 작성 후 먹거리 공급사업의 정책의사결정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책지도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생산체계 개선 및 먹거리 다양성 확보에 기어코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경기도 농산물 생산 및 수요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수요처별로 어느 정도 품목의 도입의향이 있는 지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경기도 농산물 생산정보와 지역내 수요처 취급정보를 공간적으로 결합시켜 매칭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농산물 생산지도와 먹거리 자급지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먹거리 자급지수가 낮은 주요품목에 대한 생산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