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북부 남북접경지역 농업발전 전략과 농업 R&D 과제 발굴 연구
과제구분 |
기본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지역농업 발전전략 연구
|
농업경영 |
’20~’21 |
작물연구과 |
전명희 |
경기북부 남북접경지역 농업발전 전략과 농업 R&D 과제 발굴 연구
|
농업경영 |
’20~’21 |
작물연구과 |
전명희 |
색인용어 |
|
-
- □ 연구 목표
- 경기도농업기술원(2015년) 학술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생산액 비중이 남부 65%, 북부 35%이며, 경지면적은 남부 73.4%, 북부 28.6%로 경기 남북부가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경기북부 지역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어, 균형발전 차원에서 경기북부 농산업 활성화 방안과 경기북부지역 특화작목 성장잠재력 비교 분석을 통해 지역농업 발전 전략 수립이 필요하였다.
-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경기연구원, 2015)의 농업농촌 분야에서 지역농업 혁신 시스템, 시설농업, 로컬푸드, 수출농업, DMZ 농촌체험관광, 대북 농업지원, 경기북부 농업발전 선도 농업지원 R&D단지 구축 등 북한지역 적합 종자 및 선진 영농기술 개발 보급, 대규모 종묘 단지 등의 경기북부 R&D단지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 경기북부 특화계수가 1.0 이상으로 높은 작물은 잡곡, 두류, 오이, 배추, 시금치, 상추, 무, 배, 포도, 인삼, 화훼 등이었다.
- 지역농업 클러스터 구성요소인 지역특화 작목의 성장잠재력 비교 분석과 기후변화, 정책변화, 경제상황 변화, 인구이동 등 여건 변화를 충분히 검토하여 선정해야 한다. 농정 및 농업경영의 단위인 지역농업은 조직화를 통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이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 농업활성화를 위한 특화작물 선발 및 성장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경기 남부에 비해 낙후된 경기북부 지역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 남북교류 협력을 위한 접경지역 중심의 농업분야 협력과제를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