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버섯 병배양에 적합한 액체종균 제조 기술 개발
과제구분 IPET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표고버섯 신품종 육성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버섯 ‘15∼ 버섯연구소 김정한

표고버섯 병배양에 적합한 액체종균 제조 기술 개발

버섯 ‘16∼’18 버섯연구소 김정한
색인용어

표고버섯, 병재배, 액체종균, 효소, 수량

 
□ 연구 목표
국내 표고 생산량은 2017년 현재 23,984MT이고 생산액은 2,118억원으로 버섯 가운데 단일 품목으로는 생산액이 가장 높다(산림청, 2018). 표고는 국내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부족하여, 중국으로부터 종균이 접종되어 균사배양이 완료된 배지가 2016년에만 43,904톤이 수입되었다(농식품수출정보, 2017). 따라서 국내 표고버섯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산기반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버섯 종균은 종균을 구성하는 배지의 종류에 따라 크게 톱밥종균, 액체종균 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버섯 재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 중 종균의 활력이 중요하며, 그 활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고체종균보다 액체종균이 유리하고(Hong 등, 2003), 액체종균은 톱밥종균에 비하여 배지에 균사를 신속하게 활착하게 하며, 균사생장을 균일하게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Shim 등, 2014).
표고 재배에서 액체종균은 톱밥배지중 균사생장속도가 빨라 톱밥종균 접종으로 120일 소요되는 톱밥배지 생산기간이 90일로 단축되었다고 보고되었으며(Kawai 등, 1996), Lee 등(2006)은 종균 종류에 따른 표고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액체종균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고버섯 재배시 생력화와 생산량 증대를 위해서는 큰느타리, 팽이버섯 재배처럼 액체종균의 활용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고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병재배에 적합한 액체종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