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나무를 재배법이 궁금하시다고요? 감나무를 재배하시는 곳과 재배면적등을 알려주셨으면 좀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수가 있겠으나 , 질문하신 내용이 광범위하여 일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읍니다.
감나무는 감나무목(Ebenales), 감나무과(Ebenaceae), 감나무속(Diospyrus)에 속하며 주로 열대나 아열대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과수입니다.
우리나라의 감 분포지역은 서해안은 평안남도의 진남포, 옹강의 해안까지이며 내륙지방은 경기도 가평, 충북제천, 경북 봉화 북쪽, 동해안 은 함경남도의 원산을 기점으로 북청 해안지역을 잇는 이남지역이 됩니다.
중부 이북지역은 주로 떫은감이고, 단감은 대부분 연평균 기온 12도 이하 지역에 분포하며 주산지는 평균기온 13도이하 지역에 형성되어 있읍니다. 따라서, 경기지역은 북한계선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경기지역에서 단감을 재배할 경우에는 다소 품질이 저하되고 동해, 개화기 저온피해등의 우려가 있읍니다.
감 재배상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나무의 특성 및 재배법
재배적 특성
재배적 특성
학명
Diospyros kaki THUNB.
분류
감나무과
기상환경
ㅇ 평균기온 : 13℃이상 되는 지역 ㅇ 휴면기 평균기온(12월~익년 2월) : -1℃ 이상 ㅇ 휴면기 최저기온(12월~익년 2월) : -4℃ 이상 ㅇ 성숙기 평균기온 : 10월 15℃, 11월 9℃ 이상 ㅇ 일조시간 : 2,340 시간 이상
착과특징
ㅇ 단감은 새가지에서 잎이 핀 후 개화 결실하며, 과실은 전년도가지 선단부에서 기부쪽으로 1~5개눈에서 발생한 새가지에 착과됨. ㅇ 생리적 낙과가 많기 때문에 결실 조절에 유의하여야 하며, 수분수는 반드시 5~10%를 혼식하는 것이 좋음.
고품질 과실 생산기술
ㅇ 단감원 토양관리 – 토양검정 및 영양진단 기준 따른 시비량 조절로 수세 안정 – 오손과발생 유무에 따라 초생재배 결정 – 생육기별 적정 수분 관리 ㅇ 목표로 하는 과실 크기에 따른 결실조절 – 대과 → 적뢰(5월), 중간 크기→적뢰(5월)+적과(6월), 소과 → 적과(7월) – 결실조절 기준 : 결과모지에 착생된 엽 기준(15~25엽/과) ㅇ 돌발성 도장지 예방 – 수고낮추기는 3~4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낮춤 – 굵은 가지를 절단한 나무는 결과모지수를 많이 남김
□ 기본수형
ㅇ 주지는 곧게 키우며, 상·하, 좌·우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
ㅇ 측지나, 결과모지는 많이 둔다.
ㅇ 주지 선단부분은 절단전정으로 세력 유지
□ 오 손 과
ㅇ 품종 : 이두, 갑주백목 품종에 다발, 상서조생, 부유 등에서도 발생
ㅇ 전정법 개선 : 밀식과원 간벌, 아래로 처진 가지 제거
ㅇ 적뢰, 적과시 상향과 제거
ㅇ 다발과원 초생재배 지양 또는 예초철저
ㅇ 과실성숙기, 수확기에 약제 근접살포 지양
□ 꼭지들림
ㅇ 꽃받침이 충분히 자랄 수 있도록 적뢰 작업 철저
ㅇ 수분수를 충분히 혼식하여 과실 내 종자수 확보
ㅇ 과실 성숙기에 급격한 양수분 변화 방지
□ 녹 반 증
ㅇ 품 종 : 송본조생 부유, 상서조생, 이두 품종에 다발
ㅇ 토양개량 : 심경, 퇴비, 석회 시용
□ 오 손 과
ㅇ 품종 : 이두, 갑주백목 품종에 다발, 상서조생, 부유 등에서도 발생
ㅇ 전정법 개선 : 밀식과원 간벌, 아래로 처진 가지 제거
ㅇ 적뢰, 적과시 상향과 제거
ㅇ 다발과원 초생재배 지양 또는 예초철저
이상과 같이 간단히 감재배 개요에 대하여 말씀드렸구여, 좀더 자세한 내용은 경기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원선이(031-229-5802, wsunni@gg.go.kr)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읍니다.
안녕하세요?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원선이입니다. 저희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감나무를 재배법이 궁금하시다고요? 감나무를 재배하시는 곳과 재배면적등을 알려주셨으면 좀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수가 있겠으나 , 질문하신 내용이 광범위하여 일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읍니다.
감나무는 감나무목(Ebenales), 감나무과(Ebenaceae), 감나무속(Diospyrus)에 속하며 주로 열대나 아열대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과수입니다.
우리나라의 감 분포지역은 서해안은 평안남도의 진남포, 옹강의 해안까지이며 내륙지방은 경기도 가평, 충북제천, 경북 봉화 북쪽, 동해안 은 함경남도의 원산을 기점으로 북청 해안지역을 잇는 이남지역이 됩니다.
중부 이북지역은 주로 떫은감이고, 단감은 대부분 연평균 기온 12도 이하 지역에 분포하며 주산지는 평균기온 13도이하 지역에 형성되어 있읍니다. 따라서, 경기지역은 북한계선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경기지역에서 단감을 재배할 경우에는 다소 품질이 저하되고 동해, 개화기 저온피해등의 우려가 있읍니다.
감 재배상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나무의 특성 및 재배법
재배적 특성
묘목심기
재식시기 : 봄, 가을
재식거리
수분수 혼식
– 수분수 : 선사환, 사에후지, 조홍시, 정월
– 혼식률 : 재식주수의 5~10%, 1~2품종
감나무 생육에 적당한 토양 화학성 (성목 기준)
숙기별 재배품종
감나무 수형 및 생리장애 대책
□ 기본수형
ㅇ 주지는 곧게 키우며, 상·하, 좌·우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
ㅇ 측지나, 결과모지는 많이 둔다.
ㅇ 주지 선단부분은 절단전정으로 세력 유지
□ 오 손 과
ㅇ 품종 : 이두, 갑주백목 품종에 다발, 상서조생, 부유 등에서도 발생
ㅇ 전정법 개선 : 밀식과원 간벌, 아래로 처진 가지 제거
ㅇ 적뢰, 적과시 상향과 제거
ㅇ 다발과원 초생재배 지양 또는 예초철저
ㅇ 과실성숙기, 수확기에 약제 근접살포 지양
□ 꼭지들림
ㅇ 꽃받침이 충분히 자랄 수 있도록 적뢰 작업 철저
ㅇ 수분수를 충분히 혼식하여 과실 내 종자수 확보
ㅇ 과실 성숙기에 급격한 양수분 변화 방지
□ 녹 반 증
ㅇ 품 종 : 송본조생 부유, 상서조생, 이두 품종에 다발
ㅇ 토양개량 : 심경, 퇴비, 석회 시용
□ 오 손 과
ㅇ 품종 : 이두, 갑주백목 품종에 다발, 상서조생, 부유 등에서도 발생
ㅇ 전정법 개선 : 밀식과원 간벌, 아래로 처진 가지 제거
ㅇ 적뢰, 적과시 상향과 제거
ㅇ 다발과원 초생재배 지양 또는 예초철저
이상과 같이 간단히 감재배 개요에 대하여 말씀드렸구여, 좀더 자세한 내용은 경기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원선이(031-229-5802, wsunni@gg.go.kr)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