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약에 대해
|
---|
|
안녕하세요.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다 보면 버섯파리로 문제가 많은데 친환경 약제에 대해 연구한 내용이 있는지요. 손쉽게 예방 할수 있는 디밀린이 있으나 친환경약제가 있었으면 하여서요 그리고 푸른 곰팡이 친환경 약제도요 친환경 약제 손쉽게 농가에서 만들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면 해서요. |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친환경 약에 대해
|
---|
|
안녕하세요.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다 보면 버섯파리로 문제가 많은데 친환경 약제에 대해 연구한 내용이 있는지요. 손쉽게 예방 할수 있는 디밀린이 있으나 친환경약제가 있었으면 하여서요 그리고 푸른 곰팡이 친환경 약제도요 친환경 약제 손쉽게 농가에서 만들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면 해서요. |
김재영 선생님 안녕하세요!
버섯파리와 푸른곰팡이 방제용 친환경 약제와 관련하여 질의하신 내용에 아는 대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먼저 버섯파리의 경우 디밀린, 더스반, DDVP등을 사용하지만 친환경약제는 아닙니다. 더스반은 종균재식시 평당 15g정도를 종균과 같이 뿌리면 성충이 배지속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디밀린은 성충을 죽이는 효과는 없고 유충의 탈피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버섯파리 방제용 친환경 약제는 개발된 것이 없습니다, 다만, 버섯파리의 생리 생태를 이용한 방제나 예방을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면,
1. 버섯파리는 외기온도가 약 15도 이상 올라가기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버섯파리가 재배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섯파리는 배지냄새에 유인되어 재배사 내부로 유입되므로, 출입문, 창문 등 외부와 노출된 부위에 매우 적은 크기의 메쉬(망)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또한 폐상퇴비 등 버섯파리가 증식하기 좋은 증식장소를 원천적으로 재배사에서 멀리 해야 합니다.
3. 재배사 내부에 유인 등과 트랩(물통)을 설치하면 내부에 유입된 성충의 밀도를 낮출수 있습니다.
4. 점성이 높은 스티커(가급적 원색이 유리함- 특히 노랑색)을 설치하는 것도
성충의 밀도를 낮추는 좋은 방법입니다.
버섯파리는 성충의 피해도 크기만 유충이 균사를 갉아 먹어 수량을 낮추게 때문에 피해가 더 큽니다.
따라서 성충이 알을 만들지 못하도록 성충의 유입과 밀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푸른곰팡이병은 주로 배양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병원균도 Trichoderma 균이 많습니다. 이 병균은 버섯균의 활력이 약해지거나 배지발효가 불량할 경우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제보다는 이 병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1. 배지가 혐기적으로 발효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2. 야외발효 등 배지발효가 충분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3. 배양중 반드시 유공비닐(구멍이 물을 부으면 물이 빠질정도록 크야 함) 등 을 사용 하여 공기공급이 이루어 져야만 버섯균이 활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푸른곰팡이 병균이 이미 생겨 확산방지가 필요하다면 생석회를 발생한 부위에 도포해 주시고 그 위에 스프레이로 물을 약하게 뿌려주세요.
생석회는 물과 결합하면 고온(200도)의 열발생과 높은 pH로 푸른곰팡이병균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명쾌한 대답을 드리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더 궁금하신점은 전화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화 : 031-229-6121(하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