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 ㅡ ^ 이곳 ‘경기도농업기술원 홈페이지’ 안에 굉장히 좋은 정보가 많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특히 병 발생 예측 프로그램은 실제로 굉장히 유용한 것 같습니다.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해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벼 도열병에 대해 찾아봤을 때, ‘도열병균의 침입부위에 따라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마디도열병 등이 있고 어린모에 발생되면 모도열병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었습니다. 이렇게 나누었을 때 각각 기상조건에 따른 병의 최적 발생시기가 다르고, 또한 약제를 써야하는 방제시기와 약제의 성질도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이곳의 벼도열병의 예측은 특별히 병이 많이 발생하는 침입부위가 있어서 그 부위에 따른 예측인지, 아니면 모든 병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를 포괄해서 예측한 예측 프로그램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예측되는 발병정도가 몇 %여야 4단계로 판단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래의 질문의 답들도 읽어봤는데요, 답변을 정말 친절하게 잘 달아주셔서 궁금한 점을 많이 알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
질문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도열병 발생 종류는 아시다시피 다양합니다.
발생 시기, 조건도 다르고요.
그래서 본 도열병 예측모델에서는 모도열병 예측은 제외하였습니다.
발생도 많지 않고 발생조건이 달라 제외하고 잎도열병, 이삭도열병만 발생예측하고 있습니다.
발생위험단계 표시는 발생량을 추정해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병 발생에 유리한 기상조건 지속시간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4단계는 병발생에 좋은 기상조건이 13시간 이상 연속으로 지속되는 날입니다.
설명이 되었나 모르겠네요.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