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병발생예측 프로그램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
---|
|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이번 학기에 식물 병리학이라는 수업을 듣고 김진원 교수님의 소개로 이 사이트를 접하게 되었는데요. 수업으로만 접하던 병 발생 예찰 프로그램을 직접 보니 수업 내용이 한층 더 와닿는 것 같고 실제 농업을 하시는 분들께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왠지 제 기분이 뿌듯해지는 듯 합니다. ^^ 그런데 프로그램을 살펴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프로그램 자체가 병 발생을 예측하는 것이고 실제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병 집중 발생 시기에 날짜별로 예측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실제로 이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얼마나 많은 농가에서 병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물론 그 동안 쭉 농사를 지어오신 분들은 많은 경험을 통해 이런 정보를 알고 계시리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병 발생 시기를 예측하는 정보를 얻게 된다면 참으로 좋을 것 같아서 이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쌀쌀한 날씨에 우리나라의 농업 발전을 위해 수고하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
김진원 교수님께서 어려운 숙제를 드렸네요!
활용은 농민분들이 많이 이용해야 하는데 사실 검정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냥 접속건수로 추측할 따름입니다.
방제효과는 정확히 알 수가 없고 예측에 따라 방제를 한다면 50% 정도 방제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는 홈페이지 기능을 추가하고자 여러가지 병해에 대해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배 과수원 붉은별무늬병과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같은 홈페이지에 추가 구축하였고 고추 탄저병, 포도 노균병, 새눈무늬병에 대한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부디 귀하도 많은 관심을 가져 대한민국 농업을 살리는 연구를 합시다.
그럼 더 문의하고 싶은 사항이 있으시면 멜을 주시고 내내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