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곳을 알게 되어서 정말 기쁘네요 ^^

다름이 아니라 이곳에 있는 병예측 프로그램을 보고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벼의 예측 프로그램에서

1~2단계: 기상이 좋아 병발생 위험이 적음(일반적인 포장관리단계)
3단계: 기상이 나쁘면 병발생 가능성이 있음(주의가 요구되는 단계)
4단계: 기상이 좋지 않아 병이 증가하고 있음(약제방제가 필요한 단계)

이렇게 적혀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단순히 병이 발병하기 좋은 기상에 대한 것을 통해 병의 증가를 예측 한것인지 초기 발병원의 량과 같은 다른 요인들까지도 고려되어서 실제로 병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4단계: 기상이 좋지 않아 병이 증가하고 있음(약제방제가 필요한 단계)라고 해도 실제 기상과 병원균 뿐아니라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해 병이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 그리고 이런것은 어떤식으로 예측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메인 페이지에 여러 링크된 사이트를 보았는데 ‘한국토양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asis.rda.go.kr/)는 없는 것 같아서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이 곳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완성한 우리나라 전국의 토양에 대해 토양 특성이나 토양관리에 대해 알 수 있는 사이트여서 다른 경기도 농사를 하시는 분들이 이용했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