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초에 생긴 벌레는요~
|
---|
|
안녕하세요.. 여기에 여쭈어보아도 되는건지 모르겠는데요.. 우리집 킹벤자민에 생긴 벌레를 검색하다 보니까 깍지벌레라구 해요.. 그리고 또 그 옆에 있는 동백나무가 작년겨울부터 자꾸 죽어가고 있어요.. 잎이 까맣게 타들어가서 떨어지고 올해는 꽃망울도 얼마 없어요.. 동백나무에 보니까 까만점같은 타원형의 아주 작은벌레가 붙어있는데요.. 제가 잡아서 손톱으로 눌러보니까 하얀 진이 나오는데.. 벌레 맞나요? 우리 남편은 깍지벌레 똥이라고 하는데.. 제가 볼때는 그것도 벌레 같아서요.. 그럼 이 벌레들을 잡으려면 어떤 약을 뿌려야 하는지요? 어떤 네티즌들은 진딧물 약으로는 죽지않는다고 하던데요.. 우리집 킹벤자민은 어른키가 넘는 나무를 샀는데 벌레때문에 잎이 다 까맣게 되어버려서 올해 여름에 나무를 확!!다 잘라버렸어요.. 그러면 벌레가 없어질줄 알았는데 오늘보니까 또 그 깍지벌레인가 그게 기어다녀서 이쑤시개로 잡았구요.. 줄기가 하얗게 거미줄같은게 조금씩 붙어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혹시 알고 있다면 답변 보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지금 화원에 진딧물 약 사러 갈까 하다가 먼저 여쭈어보고 사려구요.. 그럼 안녕히계세요 ^ㅡ^~* 바쁘신데 이런것까지 여쭈어봐서 죄송해요..^ㅡ^ㆀ |
우와…
먼저 상세하게 답해 주신 홍순성님의 친절함에 감사드립니다 ^ㅡ^~*
혹시나 하고 열어보았는데 이렇게 약품이름까지 상세히 알려주실줄은 몰랐어요…
아는분이 농약가게를 하고 계시니 그 약품들을 구입해서
우리집 나무들을 시원하게 해주어야겠어요..
얼마나 간지러울까 싶어 어제는 면봉으로 벌레를 잡아주고 줄기를 살살 긁어주었는데.. ^ㅡ^ㆀ
식물에 대해 아무것도 아는것 없이 그져 예쁠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생각에 5천원짜리 고무야자의 줄기가 두꺼워지기까기 약 2년여를 누구에게도 물어볼 곳이 없어 얼마나 많은 식물들을 죽이고 또 사놓고 했는데요..
그놈들을 보며 얼마나 행복해하던 만큼이나 홍순성님의 친절이 저를 더 없이
행복한 사람이라 하게 만들어주셨어요..
말하지 못하는 식물들이지만 우리집 베란다에 옹기종기 모여사는 저녀석들도
저처럼 행복해질수 있게 되었어요..
우연히 웹서핑을 하다 제주농업기술원을 보고 이곳에서도 가능할까 했던일이
이런 행운까지 갖게 해주네요..
다시한번 감사드리며..
언제나 식물들과 함께하는 홍순성님께 늘 밝은기운이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ㅡ^~♡
행복한 나무와 그 나무를 사랑하는 사람이 다녀갑니다 +:…:+
안녕하세요!!!
농업기술원 병해충 방제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귀하께서 문의하신 것 중
고무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은 깍지벌레로서 하얀털을 쓰고 즙액을 빨아먹고 삽니다.
깍지벌레가 배설하는 똥은 투명하며 끈적거리는 액으로 되어 있으나 곰팡이가 생겨 까맣게 보입니다.
방제법은 마리수가 작을때는 잎뒤나 틈에 박혀있는 벌레를 자주 이수시게나 핀으로 잡아내는 것이 좋으며 많으면 코니도수화제를 물에 타서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동백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은 점박이응애로 추정되며 이 해충은 잎뒤에서 즙액을 발아먹어 잎이 진이 빠져 허옇게 되며 심하면 낙엽이 됩니다. 특징은 응애는 거미의 일종으로 거미줄이 생기며 그 속에 있거나 이 줄을 타고 다른 잎으로 옮겨갑니다.
보통 이른봄이나 초가을 건조한 시기에 발생하며 일반 농약으로는 방제가 안되며 반드시 전용 약제로 방제해야 하는데 살비왕액상수화제가 잘 듣는 편으로 방제할 때 3~4일 간격으로 3~4회 집중 살포하여 방제해야 합니다.
이상의 농약들은 농약상에 가서 구입해야 하며 소량으로 포장된 가정원예용도 있으니 구입하여 살포바랍니다.
혹시 의문사항이 있으시면 메일 sshong@gg.go.kr로 주세요
그럼 건승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