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육씨앗 발아 방법
|
---|
|
안녕하세요 더운대 수고많으십니다 다름아니오라 다육이 씨앗을 여러종 구해놨습니다 마사와 질석으로 파종용토를 만들어서 물로 충분히 적신뒤에 씨를 위에 뿌리고 수분을 유지해주기 위해 랩으로 쌓아서 파종하면 된다고 해서 그렇게 햇지만 반이상이 실패로 돌아가내요 짧게는 한달에서 6개월까지 걸리는 것들도 있다구는 하나 먼가 방법이 잘못됐다거나 환경적인 문제등 머 그러한 문제들이 있는거 같은대 씨앗 파종의 방법을 좀더 상세하게 듣고 알고 싶어서 이렇게 글남깁니다 환경이나 파종용토까지 최대한 초보자도 잘 해낼수 있게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더위 조심하시고 수고하세요 꾸벅 |
종자로 번식하는 경우는 영양번식이 어려운 작물이나 대량으로 증식하는 수단이 되나 고정화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분리(변이발생)가 일어날수 있어 균일한 개체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종자의 발아에 관여하는 조건으로는 종자휴면 여부, 발아억제물질, 경실종자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종자의 수명과 저장성도 중요한 요인이 될수 있습니다.
즉 휴면이 요하는 작물은 휴면타파, 발아억제물질의 제거, 경식종자의 박피와 종자에 따른 수명파악 예를들면 취설송의 경우에는 채종후 1주일 이내에 파종하여야 발아율을 높일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종자의 저장성은 1-3년 정도입니다.
종자의 발아에는 여러가지 조건(내적 및 외적조건)이 따르는데
1. 수분 : 종자에는 보통 10%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으나 물을주어 70%이상 흡수하게 되면 생리작용에 의해 발아됨
2. 온도 : 일반적으로 발아온도가 재배온도보다 3-5도 높을때 발아가 잘됨
3. 광선 : 종자에는 중간성(광과 무관), 호광성(광에 의해 발아촉진)과 암발아 종자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당인 등의 미세종자는 광발아 종자이기 떄문에 파종시 복토를 하지 않으며, 종자가 큰 식물은 종자크기의 3배정도 깊이로 심는다.
종자를 본격적으로 파종하기전에 흡습지에 물을 축여서 소량의 종자의 종자발아를 테스트한 후에 본격적인 파종을 실시하는 것이 실패를 줄일수 있는 방안이다.
파종후 습도 및 온도조절을 위해 유리나 신문지 등을 파종용기 위에 덮어 두는데 고온기나 불량조건일 경우에는 환기 등을 잘 실시하여 과습에 의한 피해를 막아야 한다. 파종후 다찌가렌 등 입고병 약을 처리해 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대부분의 종자는 15일 정도에 발아하나 바위솔 종류의 일부는 발아에 2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열대성작물의 경우에는 단명종자임으로 채종직후 파종해야 발아율을 높일수 있습니다.
파종용토는 배수와 보수가 잘되는 무균용토를 사용해야 합니다.
발아까지의 단계도 중요하지만 발아후의 관리도 필요합니다. 발아해서 한번에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환경관리 등에 신경을 쓰야 합니다.
다육식물은 데체로 영양번식이 잘 되고 쉽기 때문에 종자번식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주 적습니다. 종자발아의 기본적인 습성을 이해하시고 접근하시면 성공적으로 육묘가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다육식물의 종류가 워넉 많고 다양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다육식물을 언급하신다면 국내외 연구를 검색하여 정보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로 저희 선인장연구소 홈페이지 선인장즐기기의 씨앗으로 번식 부분을 보신다면 다육식물에 관해서는 아니지만 선인장 일반적인 파종법에 관해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습니가.
바쁘신대 답변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종자별로 알려주신다기에 제가 현제 보관중이거나 파종중인 다육식물 리스트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섭브리지라
라우이
기간테아
칸테
동운
스트릭 프로라
콜로라타
등 현제 파종중이거나 아직 파종 전인 씨앗들입니다
동운은 여러개 성공했구요 칸테는 전멸이구요 기간테아는 2개박에 성공 못했내요
워낙에 발아성공률이 작아서 문의드려봤습니다
바쁘시지겠지만 늦더라도 정보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