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가 밀집된 곳에서 없는 곳으로 이식을 하고 싶은데 이앙하고 언제까지 이식을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총 1 개
작성자|
농업기술원
작성일|
2025-06-20
안녕하십니까?
경기도농업기술원과 경기농업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문의하신 이식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보통은 이앙 초기에 결주를 보충하기 위해 이앙 후 남은 모를 논 가에 두고 활착기(이앙 후 15일 전후)까지 보식을 하기도 합니다.
문의하신 내용만 가지고는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인 사항을 말씀드립니다.
지금 시기는 보통 중만생종 기준으로도 이앙일 후 30일 정도 시기로 활착기를 지나고, 한창 새끼치기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미 뿌리 활착이 되고 양분을 흡수하면서 영양생장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밀집된 곳에서 모를 떼다 이식하면 벼의 뿌리 끊김, 환경 적응 등의 이유로 생육이 늦어져 같은 포장에서 균일한 출수와 등숙, 수량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새끼치기가 시작된 이후에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 밖에도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031-8008-941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십니까?
경기도농업기술원과 경기농업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문의하신 이식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보통은 이앙 초기에 결주를 보충하기 위해 이앙 후 남은 모를 논 가에 두고 활착기(이앙 후 15일 전후)까지 보식을 하기도 합니다.
문의하신 내용만 가지고는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인 사항을 말씀드립니다.
지금 시기는 보통 중만생종 기준으로도 이앙일 후 30일 정도 시기로 활착기를 지나고, 한창 새끼치기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미 뿌리 활착이 되고 양분을 흡수하면서 영양생장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밀집된 곳에서 모를 떼다 이식하면 벼의 뿌리 끊김, 환경 적응 등의 이유로 생육이 늦어져 같은 포장에서 균일한 출수와 등숙, 수량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새끼치기가 시작된 이후에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 밖에도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031-8008-941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