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줄무늬잎마름병 대발생 우려

<주요 내용>

○ 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를 지닌 애멸구가 중국에서 다량 유입

○ 경기도농업기술원 애멸구 방제주의보 발령

○ 줄무늬잎마름병에 의한 벼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어 방제필요

 

20140608450611595693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에 따르면 벼에서 에이즈라고 불리며 줄무늬잎마름병을 옮기는 “애멸구”가 중국에서 많이 날아와 서둘러 방제를 해야만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애멸구가 중국에서 날아오는 양을 측정하는 기구(공중포충망)에서 5월 27~29일 사이 733마리가 채집되어 최근 발생이 많았던 2011년(79마리)보다 9.3배 정도이고 모내기한 논에서도 20포기당 10~20마리로 5~8배정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6월상순까지 저기압이 통과되면 더 많은 양이 날아올수도 있어 서둘러 방제를 하지 않으면 6월 중하순경에 알에서 깨어난 새끼벌레(약충)가 수십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가 원인이 되는 병으로 병균(바이러스)을 가지고 있는 애멸구가 볏대의 즙액을 빨아먹을 때 옮기게 되며 증상은 10~15일 후에 나타나게 된다. 경기도에서는 2001년 김포, 시흥, 화성 등 경기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3,064ha, 2009년 4674ha, 2011년 661ha가 발생되어 피해를 주었으며, 2007년 전북 부안, 충남 서천 등을 중심으로 4,500ha, 2008년에는 전남 해남, 진도지역을 중심으로 869ha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병은 일단 감염되면 치료할 수 없는 바이러스병으로 피해가 심할 경우 수확량이 50% 이상 감소한다.
이에 따라 경기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5월 30일 긴급 시군관계관 화상회의를 실시하여 6월 상순까지 공중포충망조사 등을 철저히 하고 피해 우려지역에서는 모내기한 논을 정밀하게 살펴보아 방제 필요시 농업인들에게 신속히 알려 철저한 방제가 되게 할 예정이다.
또한 맛드림벼, 삼광벼, 하이아미벼, 칠보벼, 화선찰벼 등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품종을 제외하고 추청벼와 일품벼, 오대벼, 일본품종 등 줄무늬잎마름병에 매우 약한 품종은 효과가 빠른 약제를 선택하여 방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 원예산업연구과 031-229-5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