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겨울날씨에 매미충 생존율 높아져, 도내 농가 긴장<주요 내용> ○ 지난해 보다 1월 평균기온 2.8℃(수원) 높아져 ○ 농기원,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발생 예측. ○ 병해충 진단과 방제 매뉴얼 시군 배부, 예찰 강화 등 방제지도 나서 관련사진 및 내용  | - 따뜻한 겨울날씨가 계속되면서 외래 매미충 발생가능성이 높아지자 경기도가 방제지도 강화에 나섰다.
-
- 경기도농업기술원은 해충 월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1월의 평균기온이 수원시의 경우 올해 –0.6℃로 지난해 –3.4℃보다 2.8℃ 높아졌다며 해충의 생존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충방제에 힘써야 한다고 6일 강조했다.
| - 농기원은 피해가 우려되는 매미충류로 2009년 이후 경기지역에 처음 출현한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을 주목하고 있다. 이 매미충들은 5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는데 식물체의 잎과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먹거나 배설물을 잎이나 열매에 떨어뜨려 결국 수량이나 품질을 감소시킨다.
-
- 실제로 미국선녀벌레는 지난해 안성지역에 3ha, 연천지역에 1.6ha 규모의 인삼밭에 큰 피해를 주기도 했으며, 갈색날개매미충은 현재 고양, 양주지역에 국한돼 블루베리에 피해를 주고 있지만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급속히 확산되며 배, 복숭아, 산수유 등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
- 경기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이 매미충들은 우리나라 겨울 날씨에 잘 적응돼 있을 뿐만 아니라 먹이식물이 다양하여 생존력이 매우 높다.”라며 “매미충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알고, 발생초기에 전용 약제로 방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
- 이에 따라 농기원은 최근 문제 병해충 진단과 방제 매뉴얼을 시군에 배부한 바 있다. 또한 향후 매미충들이 확산되지 않도록 피해가 우려되는 시군을 중심으로 합동예찰과 방제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
- 한편, 농기원은 2006년도부터 우리나라에 나타나서 포도는 물론 도시에서도 큰 피해를 주었던 꽃 매미가 올해는 전년대비 30~90%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농기원은 온대성 해충인 꽃 매미가 우리나라 겨울날씨에 적응을 잘 못한데다 조류 등 천적이 생기면서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하였고 여기에 최근 정밀예찰에 따른 조기대응 강화도 꽃 매미 감소에 한 몫 했다고 설명했다.
-
- 임재욱 농업기술원장은 “철저한 월동 해충방제로 최고품질의 과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현장중심의 방제지도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농업인과 실시간으로 발생정보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