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농업 공익적 가치, 7조 5천억 원

<주요 내용>

○ 도 농기원, 광역단위 최초 ‘농업 공익적 가치’ 분석 결과 발표

○ 환경보전, 식량안보, 도시사회 문제 완화, 균형적 경제발전 등 순기능 커

○ 경기도 GRDP의 3.1%, 농림어업 총생산액의 1.5배 달해

 

관련사진 및 내용
  경기농업이 갖는 공익적 가치가 약 7조5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서울, 경기, 인천 거주자 600명을 대상으로 ‘경기농업 공익적 가치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가상가치평가법(CVM)과 대체비용법(RCM)을 이용해 경기농업이 갖는 공익적 가치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농업의 공익적 가치란 경제적 가치(농업생산액)을 포함한 다원적 순기능을 액수로 환산한 것으로, 광역 자치단체 단위에서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분석한 것은 경기도가 처음이다.
 
  도 농기원에 따르면 경기농업이 갖는 공익적 가치는 수도권 시민들에게 좋은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환경보전, 식량안보, 도시문제 완화, 균형적 경제발전 등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경기농업 공익적 가치는 7조5천억 원으로, 이는 경기도 GRDP의 3.1%, 도 농림어업 총생산액의 약 1.5배에 달한다. 만 19세 이상 수도권 주민 1천995만7천명이 1인 당 연간 33만9천 원의 가치를 누리는 셈이다.
 
  기능별 평가액은 환경보전기능이 57.7%(4조3천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식량안보기능 17.7%(1조3천억 원) 도시 사회문제 완화 기능 14.2%(1조700억 원), 균형적 경제발전 기능 10.4%(7천80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보전기능은 농업의 이산화탄소 순 흡수효과와 냉방효과를 제시했다. 이산화탄소 연간 순 흡수량은 207만3천 톤으로, 이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 6억6천800만 톤(2010년 기준)의 약 0.3%에 해당된다. 지구온난화로 더워지는 도시를 냉방시키는 증발산 효과는 약 4억5천 톤으로 나타났다.
 
  식량안보기능에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14.4%), 식품의 안전성 보장(8.9%)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또한 휴양 및 여가, 치유 및 건강, 주거, 교육문제 등 도시문제를 완화시키는 기능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양 및 여가공간 제공’이 30.0%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인구과밀 및 주거문제의 완화 15.6%, 치유(힐링) 및 건강기능제고가 13.3% 등의 순이었다.
 
  2, 3차산업 발전 및 일자리 창출에 대한 농업의 경제발전 기여도는 수도권 거주자 18.2%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