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동상해 피해, 48시간 전에 미리 안다<주요 내용> ○ 도 농기원, 기상 빅데이터 활용 동상해 예보시스템 개발 ○ 배, 복숭아, 포도 동상해 피해 정도 예측 관련사진 및 내용  | -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이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해 과수 동상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서비스한다고 26일 밝혔다.
-
- 도 농기원이 개발한 프로그램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 기상자료와 자체 기상관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배, 복숭아, 포도의 동상해 피해 정도를 예측해 제공한다.
| - 이 프로그램은 동상해 발생 48시간 전에 해당지역의 동상해를 예측할 수 있으며, 농가가 알아보기 쉽도록 전자지도 위에 표현돼 있다. 동상해 예측프로그램은 인터넷(www.epilove.com)에서 이용할 수 있다.
-
- 다년생 작물인 과수는 초겨울부터 이른 봄에 급격한 추위가 지속되면 동상해가 발생하여 나무가 고사하거나 꽃눈이 얼어 죽어 나무 생육이 불량해지고 과실이 열리지 않는 등 큰 피해를 입는다.
-
- 농기원에 따르면 경기도 지역은 최근 3년 동해 발생이 심했는데, 특히 복숭아 피해가 심해 2010년 658ha, 2011년 109ha, 2013년 309ha가 동해피해를 입어 수확량이 크게 감소했다.
-
- 농기원 관계자는 “동상해 피해를 방지하려면 나무줄기에 짚이나 반사필름, 신문지 등으로 감싸고 냉기류가 머무는 낮은 지대의 과수원에서는 방풍림을 설치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문의: 환경농업연구과 031)229-58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