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고 건강한 농작업 환경개선으로 농업생산성 향상

중요하지만 주변에 놓여지고, 보호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에 처해있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의 뿌리라 할 수 있는 농업인들에 대한 건강 지킴은 체계적이고 능동적으로 앞서 나가기 보다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적극적인 노력이 결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인을 근로자 혹은 노동자라 여기지 않고 자영업으로 분류하여 일하는 사람들의 간강을 주관하는 노동부에서도 농업인에 대한 직업성 건강영향 평가에 대한내용은 거의 없다. 농작업 현장는 안전하다라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농업인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관절염, 디스크등의 근골격계 질환은반복적인 관절의 사용과 장시간의 무리한 작업자세 유지가 원인이 되어생기는 직업성질환이다.
농작업은 작업의 특성에 따라 쪼그린 자세, 엉거주춤한 자세가 많으며 장시간 반복 작업으로인해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킬 위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힘든 작업들은선진농업기술이 보급되면서 영농의 과학화, 기계화에 많이 줄어 들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기계화가 어려운 작업에서의 인력 농작업 수행과 농촌인구의 감소, 노동인력의 노령화 등은 농촌여성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율을 여전히 많은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농업인의 농작업 관련 재해의 현황은 타 산업이나 다른 나라에 비해 심각하며 앞으로 농업인구의 고령화 등 여건 변화와 맞물려 더 심화될 것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구나 기존 산업재해 관리체계에서는 고용된 농업 근로자만을 산업안전관리 대상으로 하므로 농업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영 농업인은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4년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농업분야 산업재해는 전체 산업 평균의 1.4배에 이르고 농업재해는 이보다 높은 전체산업의 2.6배에 달한다. 또한 근골격계 질환율은 비농업인의 2.4배에 달하는 62%에 이르며 경기도 안전모델 시범마을은 이보다 높은 79%에 달한다.
이와 같은 농작업 재해의 원인은 비닐하우스의 고온다습한 환경, 축사의 밀폐환경, 진동, 소음, 불안정한 작업자세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농기계, 농약 등 취급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전 및 사후관리 미흡, 농작업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농업인 자신의 안전의식 부족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