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다리긴노린재 및 혹명나방 발생증가로 피해우려
흑다리긴노린재 및 혹명나방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23일 최근 많이 발생되고 있는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예찰전문가를 소집하여 농작물 병해충 방제 예찰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특히 이날 예찰협의회에서는 흑다리긴노린재 및 홍명나방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집중 논의 했다. 흑다리긴노린재는 출수후 벼알의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주는 것으로 쌀 품질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흑다리긴노린재는 2001년 김포의 쓰레기매립 예정지 인근 논에서 대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농업기술원 등 해충전문가의 정밀조사결과 화성, 시흥, 안산 등 서해안 바다매립지의 띠풀, 산조풀 등에서 증식한 후 벼이삭이 패기 시작할 때부터 논으로 이동 벼알의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주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해마다 조금씩 내륙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흑다리긴노린재는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5~8월 띠풀이나 산조풀, 왕포아풀 등 벼과 잡초에서 증식하여 7~8월 벼로 이동 후 다시 번식하므로 논에서 발생밀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인데 유숙기부터 황숙기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준다.

지난해 화성 등 일부지역의 방제를 못한 논에서 벼알에 상처를 주어 생긴 반점미 피해율이 50% 이상 발생된 논도 있었다.

경기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시화호 인근지역의 논을 조사한 결과 성충발생이 확인되고 있어 방제소홀시 피해를 크게 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농작물병해충 발생정보 『경보』를 발표하는 등 피해최소화를 위한 방제지도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히고 벼에 피해를 주는 노린재류는 대부분 성충크기가 7mm 내외이며 약충(개미같은 모양의 새끼)은 1~2mm정도로 매우 작아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데다 벼알의 즙액만을 빨아먹기 때문에 피해상황도 쉽게 확인하기 어렵다’면서 이삭패기 시작할 때부터 이삭과 잎을 자세히 살펴보아 벌레가 보이면 냄새 확인 후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피해가 없도록 노력하고, 혹명나방도 비료기가 많거나 친환경재배지역 등 일부 논에서는 피해를 크게 줄 우려가 있으므로 논을 잘 살펴 피해가 늘어나는 논은 서둘러 방제하도록 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