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채류 양액재배 에너지 절감 및 근권 냉방시스템 개발
과제구분 |
기 본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
식물공장 상용화 및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
채소 |
’16~’17 |
원예연구과 |
하태문 |
과채류 양액재배 에너지 절감 및 근권 냉방시스템 개발 |
채소 |
’16~’17 |
원예연구과 |
하태문 |
색인용어 |
과채류, 토마토, 에너지 절감, 근권냉방, 히트펌프 |
-
- □ 연구 목표
- 토마토는 가지과 작물로 열대지역에서는 다년생이지만, 온대지역에서는 1년생 식물로 재배된다. 원산지는 페루,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볼리비아 등 남미 안데스산맥 태평양쪽의 좁고 길게 형성된 산악지대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조선 선조, 광해군 시대로 추정된다.
- 토마토 재배면적은 1980년대 정체, 감소하다가 1990년대 방울토마토의 등장으로 2000년 까지 꾸준히 증가하였고 2012년 6,344ha에 이르렀다(농촌진흥청, 2017).
- 토마토의 생장과 발달, 착과에 적합한 주간 온도는 21∼29.5℃, 야간 온도는 15.5∼21℃ 이며, 꽃의 수정은 주간온도 15.5∼32℃, 야간온도 13∼24℃ 일 때 적합하다. 이보다 더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수정이 잘 않되며, 과실이 착과되지 않고 낙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7∼8월 고온기에는 수량이 낮고 과실 품질이 좋지 않아 재배가 어려운 실정이다.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는 지역 간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7월 하순∼8월 중순에 파종하고 8월 중순 ∼ 9월 중순에 정식하며, 10월 중순∼ 11월 하순에 수확을 시작하여 이듬해 6월 하순에 수확을 끝내는 작형을 유지하고 있다(농촌진흥청, 2017).
- 국부냉방 및 시설을 이용하여 근권부 또는 온실내부 온도는 낮추어 고온기에 토마토 등 과채류의 안정적 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Fan and Pad와 같은 증발냉각 방식을 활용(Nelson, 1991 ; 林眞紀夫, 1998)할 경우 냉각효과는 좋으나 설치, 유지비가 과다 소요된다. 김 등(1998)은 소양댐의 냉수를 활용하여 고온기 과채류 육묘가능성을 검토한 바 있고, 임 등(1996)은 갱도내 냉기를 활용하여 고온기 과채류 육묘 및 재배기술을 검토한 바 있다. 또한, 이 등(2002)은 고온기 토마토 근권냉방 방식에 따른 냉방효과와 토마토 생육특성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한편,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중동지역 등 열대 고온지역에서 식물공장을 활용하여 과채류를 육묘하고 생산된 묘를 온실에서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식물공장 및 온실 설비와 기술을 중동지역 등 해외에 수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식물공장을 활용한 토마토 등 과채류 육묘시스템을 개발하고 식물공장에서 육묘된 토마토, 파프리카 등의 묘소질을 일반 육묘방식으로 생산된 묘와 묘소질을 비교 한 바(박 등, 2017)있다. 식물공장을 활용할 경우 과채류 등의 묘를 연중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장점을 활용하여 중동지역과 같은 고온지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고온기에도 토마토를 연중 생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근권부 국부냉방 기술을 적용하여 고온기 토마토 품질개선 및 에너지 절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