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화작목,
지역농업 경쟁력 확보 디딤돌

전 세계 수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경기도 접목선인장, 일본 시장을 쥐락펴락하는 전북의 파프리카, 전남 보성의 참다래, 충남의 딸기, 경북 참외 등은 대표적인 지역특화작목으로 꼽힌다.

편집실

지역특화작목은 우리 농업과 농촌의 사회적·경제적 발전을 위한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 농촌진흥청이 1990년대 몇몇 특화작목연구소(시험장) 설립을 기점으로, 현재 9개 광역지자체 소속 42개 연구소와 5개 시험장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농산물이다.

2019년에는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이어 제1차 종합계획(2021~2025)이 수립되면서 지역특화작목 기반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보다 체계적인 추진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제1차 종합계획은 69개 특화작목(대표작목 9개, 집중육성작목 18개, 자체육성작목 42개)의 연구개발 및 육성을 위해 5년 동안 약 900억 원을 투입해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경기도는 도시근로자 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율이 2007년 70%대를 유지하다 2023년 60.5%까지 감소함에 따라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및 「경기도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조례」에 따라 농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지역특화작목을 육성하고 있다.

경기도 선인장과 다육식물은 농촌진흥청에서 경기도 대표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해 지원하고 있으며, 집중육성 특화작목으로는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 장류콩 등이 있고 체계적으로 육성 중에 있다. 또한 경기도 자체육성 특화작목으로 경기미, 장미, 가지, 인삼을 선정해 신품종 육성 등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경기도가 이들 작목을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한 배경은 경기도 농산물 전체 604개 작목 중 콩 등 상위 10개 작목이 전체 재배면적의 50.3%를 차지하고 있고, 경기도 버섯생산량은 전국의 29%를 차지하고 있어 수도권 소비시장과 인접한 장점을 활용해 농업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난해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는 경기 북부 지역 콩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부가가치 향상 기술을 개발해 지역특화작목 육성에 앞장선 공로로 연구성과 우수기관에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의 오렌지 브랜드로 유명한 썬키스트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주의 오렌지 재배 농가들의 연합체다. 1893년 그곳의 오렌지 농민들이 판매협동조합 연합을 만든 게 시초인데, 연 매출이 10억 달러를 넘는 세계적인 기업이 됐다. 키위로 유명한 뉴질랜드 제스프리 역시 연 매출이 2조 원대를 넘는다.

국내 지역특화작목의 성공사례로는 경북 성주참외를 들 수 있다. 성주참외는 2000년대 10a당 생산량 2,894kg에서 2022년 50% 증가한 4,328kg을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소득은 301만 원에서 677만 원으로 125% 늘었다. 성주참외 농가는 지역에 맞는 신품종과 재배 기술교육, 병해충 방제 등 기술지원을 받아 수량과 소득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1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이 마무리되는 올해에 이어 제2차 종합계획이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디지털 육종 기술에 기반을 둔 품종 육성, 스마트 재배 기술 개발 및 수출지원을 위해 중앙·지방·민간의 협업 연구를 확대하여 발전시켜 경기도에서 접목선인장에 이은 대표 지역특화작목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9개 도별 수요·전략 기반 특화작목

대표작목, 집중육성작목, 자체육성작목

경기도

경기도

선인장/다육식물

느타리/표고
콩(장류콩)

벼(경기미)
장미
인삼
가지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옥수수

아스파라거스
감자

참당귀
파프리카(여름작형)
토마토(완숙토마토)

충청남도

충청남도

딸기

방울토마토
양송이

국화(절화용)
인삼

생강
구기자

충청북도

충청북도

포도(와인)

대추
곤충(동애등에)

수박(중소형과)
복숭아(중소형과)
사과(중안생종)
마늘
수수

경상북도

경상북도

참외

포도
인삼(시설재배)

산약(마)
고추
복숭아(수출형)
떫은감
오미자

경상남도

경상남도

단감

딸기(수출형)
도라지

사과(조생종)
국화(분화류)
마늘
망고
파프리카(중소형)

전라북도

전라북도

수박(씨없는 수박)

천마
파프리카(대형과)

곤충(치유)
산채(고사리, 곤달비)
블루베리
지황
상추

전라남도

전라남도

유자

무화과
차/커피

양파(조생종)
흑염소
양봉
고구마
참깨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키위

브로콜리
메밀

당근·비트(근채류)
감귤
양배추
감자(2기작)

농업의 기술 / 9개 도별 수요·전략 기반 특화작목 대표작목, 집중육성작목, 자체육성작목 / 경기도 선인장/다육식물 느타리/표고 콩(장류콩) 벼(경기미) 장미 인삼 가지 / 강원특별자치도 옥수수 아스파라거스 감자 참당귀 파프리카(여름작형) 토마토(완숙토마토) 콩 / 충청남도 딸기 방울토마토 양송이 국화(절화용) 인삼 배 생강 구기자 / 충청북도 포도(와인) 대추 곤충(동애등에) 수박(중소형과) 복숭아(중소형과) 사과(중안생종) 마늘 수수 / 전라북도 수박(씨없는 수박) 천마 파프리카(대형과) 곤충(치유) 산채(고사리, 곤달비) 블루베리 지황 상추 / 경상북도 참외포도인삼(시설재배)산약(마)고추복숭아(수출형)떫은감오미자 / 전라남도 유자 무화과 차/커피 양파(조생종) 흑염소 양봉 고구마 참깨 / 제주특별자치도 키위 브로콜리 메밀 당근·비트(근채류) 감귤 양배추 감자(2기작) / 경상남도 단감 딸기(수출형) 도라지 사과(조생종) 국화(분화류) 마늘 망고 파프리카(중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