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도 표고버섯 연차동향 / 전망
 
국제 여건 변화
 
세계 생산 및 한ㆍ중ㆍ일 교역 동향
 
표고버섯은 주로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며, 주요 생산국은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이다. 세계 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치는 없으나,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세계 표고 생산량은 2006년 약 350만 톤(생표고 환산기준)으로, 이중 중국이 329만 톤(94.3%), 일본이 9만 4천 톤(2.7%), 한국이 3만 8천 톤(1.1%)을 차지하였다.

 

■ 세계 표고버섯 생산량(추정치, 생표고 환산기준)

[표 30-9] 단위 : 톤, %

세계 표고버섯 생산량(추정치, 생표고 환산기준)
구분 1994년 1997년 2002년 2006년
생산량 % 생산량 % 생산량 % 생산량 %
중국 626,000 73.6 1,125,000 85.1 2,214,444 91.7 3,293,235 94.3
일본 157,400 18.5 132,600 10.0 96,964 4.0 94,574 2.7
한국 22,000 2.6 17,000 1.3 37,854 1.6 38,534 1.1
대만 28,000 3.3 27,000 2.1 29,240 1.2 30,000 0.9
기타 17,000 2.0 20,000 1.5 36,550 1.5 37,000 1.0
850,400 100.0 1,321,000 100.0 2,415,052 100 3,493,343 100

주: 세계 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치는 없음. 1994년과 1997년 자료는 Mushroom Grower’s Handbook을 참조하였으며, 2002년과 2006년 자료는 중국, 일본, 한국은 각 국가의 통계자료를 사용하였으나 대만과 기타는 추정자료를 사용함.

 

1990년 이전에는 일본과 한국이 표고버섯의 주요 수출국이었으나 중국이 농업정책을 전환하고 경제개발정책을 추진하면서 생산량과 수출량은 급속하게 늘었다.

–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표고버섯 수출은 크게 위축되었으며, 현재 중국은 세계 표고버섯 수출시장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2003년과 2007년의 한ㆍ중ㆍ일 교역 동향을 살펴보면, 교역구조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중국산 표고버섯의 잔류농약 문제 등 식품 안전성의 문제로 중국의 대일(對日) 교역량은 감소하고 대한(對韓) 교역량은 소폭 증가하는 등 교역량의 변화가 있었다.
 
■ 한ㆍ중ㆍ일 표고버섯(건표고 및 생표고) 교역량

[그림 30-7]

[2003년]
2003년 한.중.일 표고버섯(건표고 및 생표고) 교역량을 나타내는 도표
[2007년]
2007년 한.중.일 표고버섯(건표고 및 생표고) 교역량을 나타내는 도표

주: 한국 ↔ 중국, 한국 ↔ 일본의 교역량은 한국기준이며, 중국 ↔ 일본의 교역량은 중국기준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중국의 생표고 일본 수출량은 2003년 1만 9천 톤에서 2007년 1만 톤으로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잔류농약 문제의 발생으로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 특히 2006년 포지티브 리스트 제도 도입이후 일부 중국산 생표고에 서 기준을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검사명령이 내려지는 등 대일 수출이 크게 위축되었다.

중국의 생표고 일본 수출량은 2003년 1만 9천 톤에서 2007년 1만 톤으로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잔류농약 문제의 발생으로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 특히 2006년 포지티브 리스트 제도11) 도입이후 일부 중국산 생표고에 서 기준을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검사명령이 내려지는 등 대일 수출이 크게 위축되었다.
11) 포지티브 리스트제도(Positive Li 포지티브 리스트제도(Positive List System)는 수입 허용 농약 리스트에 기준 st System)는 수입 허용 농약 리스트에 기준 치를 명시하고 그 밖에 리스트에 없는 농약은 수입을 금지하는 제도로, 일본은 2006년 5월부터 이 제도를 시행,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농약 등이 일정량 이상 잔류하는 식품의 판매 등을 원칙적으로 금지해오고 있다.

한국으로의 수출량은 2003년에는 없었으나 2007년에는 1천 톤이 있었다. 중국의 생표고 주요 수출국은 일본(50.9%), 미국(15.0%) 등의 순이었으며, 한국(1.5%)의 점유율은 높지 않았다.

중국의 건표고 일본 수출량은 2003년 6,145톤에서 2007년 6,748톤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한국으로의 수출량은 2004년 1천 톤에서 2007년 1천 159톤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 중국의 건표고 주요 수출대상국은 일본(33.9%), 홍콩(24.7%), 한국(7.6%), 미국(5.4%) 등의 순이다.

한국 표고의 중국 수출량은 2007년에 일부(건표고, 4,965kg) 있었으며, 일본으로의 수출량은 2003년 362톤(건표고)에서 2007년 275톤으로 감소하였다(생표고의 경우 매우 미미함).

일본 표고의 중국 수출량은 매우 적었고(건표고, 120kg), 한국으로의 수출량은 없었다. 일본은 주요 수입국으로, 건표고 수입 비중(2006년)이 국내 수요량의 67.7%에 달했으나 생표고는 19.8%로 감소세를 보였다.12)

국제 시장에서 중국산 표고버섯의 가격우위는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내 소비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 수입국에서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 강화 등으로 중국의 표고버섯 수출은 약화될 가능성도 전망된다.

12) 농수산물유통공사 오사카aT센터.「2008년 일본의 표고버섯 시장동향」.
 
중국

중국의 표고버섯 생산량은 2004년 약 217만 톤(생표고 환산기준)에서 2006년 약 329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주산지는 복건(福建)성, 하남(河南)성, 절강(浙江)성으로 총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였다.
 
■ 중국의 성(省)별 표고버섯 생산 동향

[표30-10]

단위 : 천 톤, %

중국의 성(省)별 표고버섯 생산 동향
구분 합계 복건 하남 절강 호북 산동 섬서 기타
2001 생산량 2,072,194 600,000 259,169 375,540 170,000 100,000 144,500 422,985
(비율) (100) (29.0) (12.5) (18.1) (8.2) (4.8) (7.0) (20.4)
2002 생산량 2,214,444 620,000 303,893 378,000 187,000 132,200 101,150 491,201
(비율) (100) (28.0) (13.7) (17.1) (8.4) (6.0) (4.6) (22.2)
2004 생산량 297,798 94,378 49,873 25,529 30,245 11,853 85,572
(비율) (100) (31.7) (16.7) (8.6) (10.2) (4.0) (28.7)
2005 생산량 376,330 78,378 123,469 54,801 24,620 10,250 84,812
(비율) (100) (20.8) (32.8) (14.6) (6.5) (2.7) (22.5)
2006 생산량 450,511 79,145 136,178 57,566 29,928 27,994 9,972 109,221
(비율) (100) (17.6) (30.2) (12.8) (6.6) (6.2) (2.2) (24.2)

자료1:中國農産品加工業年監. 2002~2003(생표고 기준).
자료2: 中國農業統計資料. 2004~2006(건표고 기준).
중국(북경)의 월별 생표고 평균 가격은 kg당 최저 3.3元(위안)에서 최고 6.7元(위안)이었으며, 2007년과 2008년의 평균 가격은 kg당 5.5元(위안)이었다. 2007년과 비교할 때, 상반기에는 가격이 낮았으나 하반기에는 높게 형성되었다.
 
■ 중국(북경)의 생표고 가격

[표30-11]

단위 : 元/kg

중국(북경)의 생표고 가격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7년 5.6 5.3 5.2 5.2 6.2 6.4 4.7 6.2 6.3 6.4 4.1 4.2
2008년 5.0 5.0 3.3 4.7 4.7 6.6 6.4 6.7 5.4 5.7 6.5

자료: http://www.mushroommarket.net.
중국은 WTO 가입 이후 동부 연안지역 수출농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산 표고버섯의 수출은 현 수준에서 지속될 것이며 국내 소비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표고버섯의 생산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일본의 생표고 생산량은 2006년 6만 6,349톤으로 2002년 이후 연평균 0.7% 증가하였다. 이러한 국내 생산의 안정세는, 2000년 JAS법 개정에 따른 원산지 표시 강화로 국내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였고 중국산 수입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건표고 생산량은 2006년 3,861톤으로 생표고의 소폭 증가와는 달리 2002년 이후 연평균 3.5%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가정용, 선물용 등 가정내 건표고의 소비가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일본의 표고버섯 수급 동향

[표 30-12]

단위 : 톤, %

구분 2002 2003 2004 2005 2006 연평균 증감률
생표고 생산 64,442 65,363 66,204 65,186 66,349 0.7
수입 28,148 24,896 27,205 22,526 16,394 -12.6
소비 92,590 90,259 93,409 87,712 82,743 -2.8
건표고 생산 4,449 4,108 4,088 4,091 3,861 -3.5
수입 8,633 9,137 8,844 8,375 7,949 -2.0
수출 118 79 73 85 76 -10.4
소비 12,965 13,166 12,859 12,381 11,734 -2.5

자료: 日本 林野廳.
 
건표고의 주생산지는 오이타(34.9%), 미야자키(15.6%) 등이다. 일본 내에서 향신13)(47.0%)이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동고14) (34.0%)가 많이 생산되고 있다.

생표고의 주생산지는 도쿠시마(9.1%), 군마(7.9%), 도치기(6.3%) 등의 순이며, 일본 내에서는 균상재배(72.8%)를 통한 생산이 원목재배(27.2%)보다 많으며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일본 내 표고버섯 재배임가 수는 2006년 38,427가구15)이며, 이중 원목재배 임가 수는 건표고 17,851가구, 생표고 16,990가구로 총 34,841가구이다. 균상재배(생표고) 가구 수는 3,586가구이다.
 
■ 일본의 표고버섯(품목별) 생산량과 순위

[표30-13]

단위 : 톤

주산지(생산량순위) 건표고 주산지(생산량순위) 생표고
동고(冬姑) 향신(香信) 산성(山成) 합계 원목재배 균상재배 합계
오이타 543.2 727.9 76.9 1,348.0 도쿠시마 106.9 5,908.5 6,015.4
미야자키 223.1 233.1 146.4 602.6 군마 2,212.7 3,018.9 5,231.6
이와테 82.5 98.5 70.0 251.0 도치기 1,511.1 2,679.0 4,190.1
에히메 31.4 67.4 128.7 227.5 이와테 514.5 3,551.0 4,065.5
구마모토 67.4 128.9 15.7 212.0 훗카이도 572.7 3,425.3 3,998.0
시즈오카 101.4 72.3 27.3 201.0 후쿠시마 784.7 1,999.1 2,783.8
합계 1,312.7 1,816.2 732.0 3,860.9 합계 18,025.9 48,322.6 66,348.5

자료: 農林水産城 林野廳.
주: 산성(山成)은 무선별 건표고를 말함.
일본의 표고버섯 소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세대당 생표고 구 입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3.4%, 건표고 구입량은 연평균 1.5% 감소하였다. 지출액에 있어서도 생표고의 경우 연평균 1.9%, 건표고의 경우 연평균 4.0% 감소하였다.

일본 내 표고버섯의 소비가 감소하는 주요 이유는 팽이버섯, 부나시메지, 만가닥, 잎새, 새송이 등 저렴한 대체 버섯류의 증대와 함께 표고버섯의 독특한 향, 건표고의 불편한 조리과정 등 젊은 소비층의 거부감을 유발하는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3) 향신은 갓의 두께가 얇고 줄기도 가는 편이며, 형태는 갓이 활짝 피어 크기가 다양하다.

14) 동고는 추운 겨울에 서서히 기른 것으로 갓이 두껍고 줄기부분이 굵은 것이 특징이다.

15) 농수산물유통공사 오사카aT센터. 「2008년 일본의 표고버섯 시장동향」.
 
■ 일본의 세대당 표고버섯 구입량 및 지출액

[표 30-14]

단위 : 엔/g, %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연평균 증감률
생표고 수량 2,007 1,761 1,677 1,758 1,688 1,684 -3.4
금액 2,187 2,085 1,984 2,008 1,918 1,986 -1.9
건표고 수량 120 107 102 99 113 98 -4.0
금액 647 592 609 582 611 600 -1.5

자료1: 일본 농림수산성. ポケット食品統計. 2006.
자료2: 일본 총무성. 가계조사연보.
최근 도매시장(오사카)의 생표고 평균 가격은 상승하였는데, 이는 수입량이 감소하면서 자국산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반입 물량 또한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 오사카시 중앙도매시장 생표고 가격 동향

[표 30-15]

단위 : 톤,백만 엔, 엔/kg

오사카시 중앙도매시장 생표고 가격 동향
연도 도매수량 금액 단가
2005년 5,201 4,228 813
2006년 4,478 4,160 929
2007년 4,221 4,217 999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오사카aT센터. 「2008년 일본의 표고버섯 시장동향」.
건표고의 도매시장(전국 기준) 평균 가격은 kg당 3,609~4,167엔의 비교적 낮은 가격을 보였는데, 이는 1999년과 2002년 잇따른 외국산 표고버섯의 혼입위장 문제로 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 건표고 도매시장(전국기준) 가격동향

[표 30-16]

단위 : 엔/kg

건표고 도매시장(전국기준) 가격동향
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도매단가 3,624 4,167 4,146 3,609 3,719

자료: 일본 농림수산성 임야청.
잔류농약 검출, 만두 사태, 멜라민 사태 등으로, 수입 농림수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일본의 경계 수준이 더욱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중국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나빠져, 표고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 표고 생산량은 건표고보다는 선호도가 높은 생표고를 중심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수급 동향
 
생산 및 소비

 

표고버섯 생산량은 2007년 약 4만 톤(생표고 환산 기준)으로 2000년 이후 연평균 1.8% 증가하였다. 생표고 생산량은 약 2만 5천 톤으로 연평균 4.2% 증가하였으나 건표고 생산량은 약 1만 5천 톤으로 연평균 1.8% 감소하였다.

 

생표고의 경우 최근 원목재배 임가의 지속적인 신규 접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목재배 방식에서 균상재배 방식으로의 전환과 이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전체적인 생산량은 증가 추세이다.

 

건표고의 경우 원목구입비, 건조비 등 생산비용 증가에 따른 재배임가 감소와 함께 고온ㆍ저온 현상 등 재배환경이 좋지 못해 전반적인 생산량은 감소 추세이다.

 

■ 표고버섯 생산량 추이
[그림 30-8]

표고버섯 생산량 추이
주: 건표고 생산량은 생표고로 환산하였음(환산 비율은 7.31).
자료: 산림청.「임업통계연보?. 각 연도.
표고버섯은 전국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충남(32.9%), 전남(22.0%), 경북(14.3%) 등의 생산량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 생표고의 주산지는 부여(15.5%), 청양(5.3%), 공주(4.7%) 등이며, 건표고의 주산지는 장흥(26.4%), 거제(7.6%), 진안(6.4%) 등이다.

 

임업총조사에 따르면, 표고버섯 재배임가 수는 2005년 5,750가구로 2000년 6,887가구보다 감소하였다. 이들의 시설하우스 비율은 65.2%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점차 산지(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전환하는 단계에 있다.

 

■ 지역별 표고버섯의 생산 동향
[그림 30-9]
지역별 표고버섯의 생산 동향
주: 건표고 생산량은 생표고로 환산하였음(환산 비율은 7.31).
자료: 산림청. 임산물생산통계. 각 연도.
톱밥배지 재배방식(균상재배 방식의 일종)에 의한 생산은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 10% 미만이다. 이 재배방식은 거의 모든 활엽수 톱밥을 사용할 수 있고 잔가지 등 폐잔재를 활용할 수 있어 원목재배에 비해 자원이 절약되며 재배 기간도 짧아 자본회수가 용이하다. 이 때문에 한국의 표고버섯 재배방식은 톱밥배지 재배로 급격히 전환될 가능성16)이 크다.

– 중국과 대만의 경우 톱밥배지 재배방식에 의한 생산이 90% 이상이며 일본(생표고)도 점차 증가하여 70% 이상이다.

 

표고버섯의 1인당 소비량(고유무게 기준)은 전반적으로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07년 표고버섯의 1인당 소비량은 생표고 529g, 건표고 77g, 조제표고 84g으로 나타났으며, 건표고 소비량은 동일하게 유지된 반면, 생표고와 조제표고의 소비량이 증가하였다.

 

16) 표본 임가 조사결과(2008.3.), 톱밥배지 재배방식으로의 전환에 대한 질문에서 긍정적인 의견이 27.3%, 부정적인 의견이 25.1%,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 47.6%로 나타나 아직까지 절반에 가까운 농가들은 톱밥배지 재배방식에 대해 불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입 시기에 대한 질문에서는 향후 “1~2년 이내” 66.7%, “3~5년 이내” 31.2%, “6~10년 이내” 2.1%인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임가들은 조기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 표고버섯 1인당 소비량 추이
[그림 30-10]
표고버섯 1인당 소비량 추이
주: 건표고, 생표고, 조제표고의 고유무게 기준임.
표고버섯은 건강식품의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소비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경기위축과 함께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이러한 표고 소비의 증가세는 다소 약화17)될 것으로 예상된다.

 

17) 도시가구 소비자 조사결과(2008.8.), 향후 “표고버섯 소비를 늘리겠다” 20.6%, “줄이겠다” 1.2%, “현재 수준을 유지하겠다” 75.3%, “기타” 2.9%로 나타났다.

 

유통 및 가격

 

생표고는 단위농협(60%)과 작목반(40%)을 통해 도매시장으로 출하되는데, 전체 물량의 약 25~30%는 가락시장으로 출하되며 나머지 대부 분은 수도권 유사도매시장과 지방의 도매시장 등으로 출하된다.

 

최근 가락시장 등 도매시장의 반입 비율은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는 대형마트, 인터넷 직거래 등 판로가 다양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생표고 생산량과 가락시장 반입 동향
[그림30-11]
생표고 생산량과 가락시장 반입 동향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건표고는 주산지인 장흥 등의 산지농협 및 산지 표고협회에서 봄과 가을에 실시하는 입찰을 통해 유통되는데, 특히 장흥의 유치농협과 장동농협은 건표고 출하량의 40% 정도를 취급한다.

 

표고버섯의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생표고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은 국내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 팽이, 새송이 등 저렴한 대체 버섯류의 증대로 인한 표고의 소비 둔화 때문이며, 건표고 가격하락의 주요 원인은 국내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저가의 중국산이 지속적으로 수입되었기 때문이다.
 
■ 표고버섯의 가격 추이
[그림30-12]

표고버섯의 가격추이를 나타내는 도표

주: 1) 도매가격을 생산자물가지수(2000년=100)로 디플레이트하여 실질가격화하였음.
2) 건표고 가격은 생표고 환산량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음(환산 비율 7.31).
자료: 산림청. 임산물생산통계. 각 연도.
 
■ 생표고(상품) 도매가격의 계절변동
[그림 30-13]

생표고(상품) 도매가격의 계절변동
주: 도매가격을 생산자물가지수(2005.8=100)로 디플레이트하여 실질가격화하였음.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표고버섯의 생산은 자연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생표고 가격도 계절적 변동을 보이는데, 특히 특품?상품에서 이러한 계절성이 뚜렷이 나타났다. – 고온, 건조, 한파, 폭설 등 기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다.

 

향후 표고버섯의 가격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하락할 전망이다. 표고버섯의 생산량은 균상재배 방식의 임가 수와 생산량이 점차적으로 늘어나면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는 경기위축 등 소비심리 위축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원화 약세로 인해 중국산(또는 북한산)의 수입이 다소 주춤거리고 있으나 중ㆍ장기적으로는 소폭 증가하여 국내 표고버섯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수출입

1980년대 말까지 표고버섯 생산량의 대부분을 수출하였으나 1990년 부터 수출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96년 이후 400여 톤에 수준에 머물렀다. – 2007년의 건표고 수출량은 약 346톤으로 건표고 생산량의 약 17% 수준이었으며, 생표고 수출량은 약 2톤으로 생표고 생산량의 0.01%에 불과하였다.

 

건표고의 주요 수출대상국은 일본과 홍콩이다. 2007년의 수출량은 일본 275톤(79.5%), 홍콩 40톤(11.7%) 등으로 전체 수출량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표고버섯 수출이 확대되지 못한 이유는 표고버섯의 국내 소비 증가로 비교적 높은 가격을 형성하면서 시장구조가 내수 위주로 바뀌었고 해외시장에서는 저가의 중국산에 밀려 가격 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 표고버섯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고품질 위주의 판매 전략과 함께 연중 생산 및 공급체계의 구축, 규격화, 물류비 지원 등이 요구된다.
 
■ 건표고의 국가별 수출동향
[그림 30-14]
건표고의 국가별 수출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농수산물유통공사(www.at.or.kr).
한국에서 수입하는 표고버섯의 형태는 주로 건표고 및 조제표고로 대부분 중국18)과 북한19)에서 수입 또는 반입된다. 건표고의 2007년 수입량은 2,058톤으로 2005년 이후 감소하였으나, 조제표고의 수입량은 4,054톤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생표고의 수입량은 227톤으로 국내 생표고 소비량의 1%에 불과하다.
 
– 조제표고는 통조림으로 가공한 형태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식자재 시장을 통해 음식점 등으로 유통되는데, 이러한 점 때문에 조제표고의 수입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8) 생표고의 수입관세는 현재(2007.12.31.) 조정관세 42% 또는 1,625원/kg 양자 중 고액(율)이 적용되고 있으며, 건표고는 조정관세 42%, 조제표고는 기본관세 20%가 적용되고 있다.

19) 북한산 표고버섯은 주로 건표고 형태로 반입되는데 무관세가 적용된다. 남북 교역 이후 반입량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2006년 11월부터 북한산 표고버섯이 반입승인을 요하는 품목으로 변경, 연간 반입한도(800톤) 운영품목으로 전환됨에 따라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표고버섯의 제품별 수입 동향

[그림 30-15]

표고버섯의 제품별 수입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농수산물유통공사(www.at.or.kr).
 
수급전망
표고버섯 생산은 국내 소비가 중?장기적으로 증가하고 재배 방식이 원목에서 톱밥배지로 점차 전환됨에 따라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에는 약 4만 1천 톤, 2014년에는 약 4만 3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은 중국산 또는 북한산을 위주로 계속 증가하여 2009년 약 1만 7천 톤, 2014년에는 약 2만 2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최 근 수입 단가의 상승, 중국산에 대한 식품 안전성 강화, 원산지 표시 강화 등으로 급격히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는 최근 경기위축 등 소비심리 위축으로 둔화되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건강식품 및 자연식품에 대한 선호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 1인당 표고 소비량은 2009년 1,129g, 2014년에는 1,203g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총소비량은 2009년 약 5만 4천 톤, 2014년에는 약 5만 8천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은 현재 일본 등 국제시장에서 중국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약하여 수출 물량이 많지 않으나, 향후 연중 생산 및 공급체계 구축, 수출지원 확대 등 수출여건이 변화되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에는 약 4,362톤, 2014년에는 약 6,891톤의 표고버섯이 수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20) 국내생산, 수입, 국내소비 전망치는 1994년부터 2007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수출 전망치는 공급(국내생산+수입)과 수요(국내소비+수출) 함수에 의해 추정하였다.
 
■ 표고버섯 수급 전망
 
[표 30-17}

단위 : 톤

표고버섯 수급 전망
수급전망 2007 2008 전망
2009 2014 2019
공급 56,309 57,373 58,733 65,085 70,919
국내생산 40,185 40,514 41,085 43,496 45,389
수입 16,124 16,859 17,648 21,589 25,530
수요 56,309 57,373 58,733 65,085 70,919
국내소비 53,781 53,463 54,371 58,194 61,196
수출 2,528 3,910 4,362 6,891 9,723
1인당 소비량(kg) 1,109 1,111 1,129 1,203 1,262

주: 2008년도는 잠정 추정치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