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 8.14.(현재) 
[이미지 안뜸] 
[이미지 안뜸] 
1.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 
■ 일평균 반입량 : 584톤 
• 7월 하순 일평균 반입량 602톤보다 3% 감소 
• 작년 동기 일평균 반입량 635톤보다 8% 감소 
■ 김치 수입량 : 4,896톤(8월 10일 현재) 
• 김치 수입량은 4,896톤으로 작년 동기(6,695톤)보다 27% 감소 
• 배추 환산량은 9,800여톤으로 추정됨 
2. 도매가격 동향 
■ 8월 상순 가격 작년보다 상승 
• 8월 상순 배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5,370원(중품 3,710원)으로 평년보다 1%, 작년보다 7% 높은 수준임. 그러나 중, 하품 배추가격은 지속적인 약세를 보임 
– 이는 7월부터 지속된 고온으로 8월 출하되는 배추의 작황이 나빠져 품위간 상품성 차이가 커졌기 때문임 
▷ 배추 8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배추 8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표
 | 
평균 | 
최고 | 
최저 | 
증감률(%) | 
 
| 평년동기대비 | 
작년동기대비 | 
7월하순대비 | 
 
| 상품 | 
5,372 | 
6,286 | 
3,679 | 
 0.6 | 
  6.7 | 
64.0 | 
 
| 중품 | 
3,706 | 
4,889 | 
2,282 | 
-2.6 | 
 -1.7 | 
59.6 | 
 
| 하품 | 
2,422 | 
2,985 | 
1,483 | 
-3.9 | 
-12.5 | 
52.4 | 
 
 
주: 평년 가격은 5톤가격을 10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배추 도매가격 동향 (5일 이동평균)  
[이미지 안뜸] 
주: 평년 가격은 5톤 가격을 10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이미지 안뜸] 
1. 순별 출하량 전망 
■ 8월 중순 출하량 작년보다 2% 감소 전망 
• 8월 중순 출하량은 단수 감소로 작년보다 2% 감소 전망 
–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1% 증가 전망 
– 단수는 지속된 고온현상으로 작황이 나빠져 3% 감소하였으며, 특히 품위간 격차도 클 것으로 전망됨 
▷ 8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8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표
 | 
중 순 | 
하 순 | 
 
| 출하예상면적 | 
 1.1 | 
2.1 | 
 
| 예상단수 | 
-2.7 | 
4.2 | 
 
| 출하예상량 | 
-1.6 | 
6.4 | 
 
 
■ 8월 하순 출하량 작년보다 6% 증가 전망 
• 8월 하순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 보다 6% 증가할 것으로 조사됨 
– 이는 고온이 지속되고 있으나 잦은 비피해가 많았던 작년보다 작황이 좋기 때문임 
2. 도매가격 전망 
■ 8월 중순 가격 강세 전망되나, 하순부터 약세 전망 
• 8월 중순이후 고랭지배추 출하량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배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8%, 평년 동기보다 12% 낮은 5,000원(중품 4,000원)으로 전망 
– 하순으로 갈수록 가격은 중순보다 낮아질 전망 
• 그러나 고온현상이 지속되어 작황이 나빠질 경우 가격은 예상보다 다소 높아질 가능성도 있음 
3. 포전매매 동향 
■ 배추 포전거래는 8월 중순 출하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거래가격은 3.3㎡당 8,000~10,000원으로 작년(8,000~10,000원)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하순이후 출하분의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았음 
[이미지 안뜸] 
■ 8월 중·하순 출하물량의 속썩음병은 증가 
• 무사마귀병의 발병은 작년보다 3% 감소 
• 노균병의 발병은 작년보다 4% 감소 
• 속썩음병은 작년보다 8% 증가 
• 기타 충해는 작년보다 2% 감소 
■ 8월 중순까지 고온현상이 지속되면서 병충해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음. 향후 고온현상이 지속될 경우 하순 출하분도 속썩음병, 무름병 등의 발생률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됨 
[이미지 안뜸] 
[이미지 안뜸] 
1.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 
■ 일평균 반입량 : 454톤 
• 7월 하순 일평균 반입량 394톤보다 15% 증가 
• 작년 동기 일평균 반입량 422톤보다 8% 증가 
2. 도매가격 동향 
■ 8월 상순 가격 작년과 평년보다 낮은 수준 
• 8월 상순 무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6,900원(중품 5,440원)으로 작년보다 33%, 평년보다 26% 낮은 수준임 
– 이는 작년 고랭지무 가격호조로 재배면적이 증가하였고, 작황도 좋아 출하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임 
▷ 무 8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8kg 
무 8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표
 | 
평균 | 
최고 | 
최저 | 
증감률(%) | 
 
| 평년동기대비 | 
작년동기대비 | 
7월하순대비 | 
 
| 상품 | 
6,898 | 
8,269 | 
5,586 | 
-25.6 | 
-33.0 | 
11.4 | 
 
| 중품 | 
5,437 | 
7,744 | 
4,196 | 
-22.1 | 
-33.0 | 
19.4 | 
 
| 하품 | 
3,828 | 
5,603 | 
2,984 | 
-16.7 | 
-37.5 | 
19.4 | 
 
 
주: 평년 가격은 5톤 가격을 18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무 도매가격 동향 (5일 이동평균)  
[이미지 안뜸] 
주: 평년 가격은 5톤 가격을 18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이미지 안뜸] 
1. 순별 출하량 전망 
■ 8월 중순 출하량 작년보다 6% 증가 전망 
• 8월 중순 출하면적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보다 6% 증가 전망 
–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2% 증가 전망 
– 단수는 강우피해가 많았던 작년보다 작황이 좋아 4% 증가 전망 
▷ 8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8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표
 | 
중 순 | 
하 순 | 
 
| 출하예상면적 | 
2.2 | 
3.7 | 
 
| 예상단수 | 
4.1 | 
5.1 | 
 
 
■ 8월 하순 출하량 작년보다 9% 증가 전망 
• 8월 하순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4%, 단수는 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됨. 따라서 하순 출하량은 9% 증가 전망 
– 이는 지속된 고온으로 무름병이 다소 발생하고 있으나, 잦은 비피해가 많았던 작년에 비해 작황이 좋기 때문임 
2. 도매가격 전망 
■ 8월 중순 이후에도 가격 약세 전망 
• 8월 중순 이후 고랭지무 출하량이 작년 동기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무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35%, 평년보다 30% 낮은 7,000원(중품 5,500원)으로 전망 
– 특히, 하순으로 갈수록 가격은 중순보다 낮아질 전망 
3. 포전매매 동향 
■ 8월 중·하순 출하량의 포전거래는 이루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이는 고랭지무 출하대기량 증가로 가격 전망이 좋지 않기 때문임. 
[이미지 안뜸] 
■ 8월 중·하순 출하물량의 병충해 감소 
• 무사마귀병은 작년보다 7% 감소 
• 속썩음병은 작년보다 3% 감소 
• 노균병은 작년보다 5% 감소 
• 기타 충해는 작년보다 5% 감소 
■ 8월 상순이후 고온과 강우가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무름병 등 각종 생육장해와 병충해 발병률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됨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