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 7.15.(현재) 
[이미지 안뜸] 
[이미지 안뜸] 
1.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 
■ 일평균 반입량 : 591톤 
• 6월 하순 일평균 반입량 690톤보다 17% 감소 
• 작년 동기 일평균 반입량 634톤보다 10% 감소 
– 6월 가격 약세로 인해 가락시장 반입 감소 
■ 김치 수입량 : 6,235톤(7월 11일 현재) 
• 김치 수입량은 6,235톤으로 작년 동기(5,379톤)보다 16% 증가 
• 배추 환산량은 12,500여톤으로 추정되어 작년 동기보다 6,200여톤 증가 
2. 도매가격 동향 
■ 7월 상순 가격 약세 지속 
• 7월 상순 배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2,330원(중품 1,750원)으로 6월 하순보다 12% 낮고, 작년 동기보다 51%, 평년 동기보다 19% 낮은 수준임 
– 이는 고랭지배추 재배면적이 증가하였고 적절한 기상여건으로 작황이 좋아, 생산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임 
▷ 배추 7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배추 7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표
 | 
평 균 | 
최 고 | 
최 저 | 
증감률(%) | 
 
| 평년동기대비 | 
작년동기대비 | 
6월하순대비 | 
 
상품 
중품 
하품 | 
2,333 
1,750 
1,298 | 
2,859 
2,347 
1,595 | 
1,911 
1,500 
1,152 | 
-19.3 
-13.3 
2.6 | 
-51.0 
-51.1 
-49.3 | 
-11.9 
-11.1 
-10.3 | 
 
 
주: 평년 가격은 5톤가격을 10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배추 도매가격 동향 (5일 이동평균) 
[이미지 안뜸] 
주: 평년 가격은 5톤 가격을 10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이미지 안뜸] 
  
1. 순별 출하량 전망 
■ 7월 중순 출하량 작년보다 6% 증가 전망 
• 7월 중순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6% 증가할 전망 
– 출하면적은 고랭지배추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2% 증가 전망 
– 단수는 기상호조로 작황이 좋아 작년 동기보다 4% 증가 전망 
▷ 7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7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표
 | 
중 순 | 
하 순 | 
 
| 출하예상면적 | 
2.2 | 
1.1 | 
 
| 예상단수 | 
3.5 | 
1.9 | 
 
 
■ 7월 하순 출하량 작년보다 3% 내외 증가 전망 
• 7월 하순 출하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1%, 단수는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됨. 따라서 하순 출하량은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7월 상순 이후 발생한 가뭄과 고온으로 작황이 나빠지고 있어 하순으로 접어들수록 단수가 감소할 전망임 
  
2. 도매가격 전망 
■ 7월 중순 이후 가격 약세 이어질 전망 
• 7월 중순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많고, 김치수입량도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배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5,704원)보다 39% 낮은 3,500원(중품 2,500원) 내외 전망 
• 7월 하순 출하량은 지속된 가뭄과 고온으로 피해가 증가하여 중순보다 감소할 전망임. 따라서 하순 가격은 중순보다 높아질 전망 
  
3. 포전매매 동향 
■ 7월 중·하순 출하물량의 포전거래가격은 3.3㎡당 4,000~5,000원 으로 작년(7,000~10,000원)보다 50% 내외 낮은 수준임. 중순에 비해 하순 출하량 거래가 더 부진한 것으로 조사됨 
[이미지 안뜸] 
■ 7월 중·하순 출하물량의 병해, 충해 모두 감소 
• 무사마귀병의 발병은 작년보다 3% 감소 
• 노균병의 발병은 작년보다 4% 감소 
• 속썩음병은 작년보다 2% 감소 
• 기타 충해는 작년보다 4% 감소 
■ 6월 하순까지는 기상여건 호조로 작황이 작년보다 크게 좋았음. 그러나 7월 상순 이후 가뭄과 고온현상이 지속되어 최근 배추병해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임 
[이미지 안뜸] 
[이미지 안뜸] 
  
1.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 
■ 일평균 반입량 : 392톤 
• 6월 하순 일평균 반입량 450톤보다 13% 감소 
• 작년 동기 일평균 반입량 460톤보다 15% 감소 
– 6월 하순 이후 급격한 가격 하락으로 가락시장으로 반입량 감소 
  
2. 도매가격 동향 
■ 7월 상순 가격 약세 지속 
• 7월 상순 무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5,130원(중품 4,100원)으로 6월 하순보다 21% 하락하였고, 작년 동기보다 60%, 평년 동기보다 20% 낮은 수준임 
– 여름 평지무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임 
▷ 무 7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8kg 
무 7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표
 | 
평 균 | 
최 고 | 
최 저 | 
증감률(%) | 
 
| 평년동기대비 | 
작년동기대비 | 
6월하순대비 | 
 
상품 
중품 
하품 | 
5,129 
4,096 
3,058 | 
7,025 
5,973 
4,219 | 
4,311 
3,539 
2,566 | 
-19.5 
-7.0 
16.2 | 
-60.0 
-58.8 
-55.9 | 
-20.6 
-13.5 
-1.9 | 
 
 
주: 평년 가격은 5톤 가격을 18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무 도매가격 동향 (5일 이동평균) 
[이미지 안뜸] 
주: 평년 가격은 5톤 가격을 18kg으로 환산한 가격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이미지 안뜸] 
1. 순별 출하량 전망 
■ 7월 중순 출하량 작년보다 7% 증가 전망 
• 7월 중순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7% 증가 전망 
– 출하면적은 고랭지무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3% 증가전망 
– 단수는 지속된 기상여건 호조로 작년 동기보다 4% 증가 전망 
▷ 7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7월 순별 출하예상면적 및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표
 | 
중 순 | 
하 순 | 
 
| 출하예상면적 | 
3.2 | 
1.6 | 
 
| 예상단수 | 
3.7 | 
2.3 | 
 
 
■ 7월 하순 출하량 작년보다 4% 증가 전망 
• 7월 하순 출하면적과 단수가 작년 동기보다 각각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됨. 따라서 7월 하순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4% 증가 전망 
– 최근 지속된 가뭄과 고온현상으로 작황이 나빠지고 있어 하순으로 갈수록 단수가 감소할 전망임 
2. 도매가격 전망 
■ 7월 중순 이후 가격 약세 이어질 전망 
• 7월 중순 고랭지무 출하량이 작년 동기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무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7,000원(중품 6,000원) 내외로 작년 동기(11,640원)보다 40% 내외 낮을 것으로 전망 
• 7월 하순 출하량은 가뭄과 고온현상으로 피해가 증가하여 중순보다 출하량 증가폭이 줄어들 것으로 조사됨. 따라서 하순 가격은 중순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3. 포전매매 동향 
■ 7월 중·하순 출하물량의 포전거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이는 고랭지무 출하대기물량이 많아 가격 전망이 좋지 않기 때문임 
[이미지 안뜸] 
■ 7월 중·하순 출하물량의 병해, 충해 모두 감소 
• 무사마귀병은 작년보다 4% 감소 
• 속썩음병은 작년보다 6% 감소 
• 노균병은 작년보다 3% 감소 
• 기타 충해는 작년보다 4% 감소 
■ 6월까지 적절한 강우로 작황이 좋았음. 그러나 7월 상순 이후 가뭄과 고온현상이 지속되면서 작황이 다소 악화되고 있음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