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7월 생산량 감소, 가격 불안정 
여름철 기후 여건 악화로 생산량은 감소하고 품질도 떨어질 전망. 생표고 가격은 배지재배에 의한 생산량 확대, 육류 소비 감소 등의 요인으로 불안정할 전망 
<재배동향 및 전망> 
■ 병해충, 여름철 철저한 자목관리 필요 
• 자목 병해충 발생률은 14.4%로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주로 발생하였음. 
• 6월 하순 이후 장마에 대비하여 자목의 병해충이 증가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함. 
▷ 병해충 발생 시기(5월말 현재) 
  
주: 표본농가 조사치(5월 28일 ~ 6월 3일) 
■ 5월 생산량은 감소, 품질은 양호 
•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대비 16.8% 감소하였음. 작년보다 재배 규모가 줄고 노목 비율이 높기 때문임. 
• 품질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음. 
▷ 5월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동향 
단위 : % 
5월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동향 표
| 작년대비 생산량 증감률 | 
품질 | 
 
| 좋은 | 
보통 | 
나쁨 | 
 
| -16.8 | 
53.8 | 
25.8 | 
20.4 | 
 
 
주: 표본농가 조사치(5월 28일 ~ 6월 3일) 
■ 6월 이후 생산량은 감소, 품질은 떨어질듯 
• 장마, 고온현상 등 기상 여건의 악화로 6월 이후의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전망임. 
• 가락시장의 배지재배 표고 반입량은 현 20%에서 30%로 증가할 전망임. 
▷ 6월 하순~7 상순 생산량 및 품질 전망 
단위 : % 
6월 하순~7 상순 생산량 및 품질 전망 표
| 작년대비 생산량 증감률 | 
품질 | 
 
| 좋은 | 
보통 | 
나쁨 | 
 
| -5.7 | 
24.7 | 
57.5 | 
17.8 | 
 
 
주: 표본농가 조사치(5월 28일 ~ 6월 3일) 
  
<가격동향 및 전망> 
■ 생표고 가격은 5월 하순 급락, 이후 회복 
• 저장 물량을 포함한 봄 버섯과 여름 버섯의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미국산 쇠고기 문제로 전체 버섯류의 소비가 둔화되어 5월 하순 생표고 가격은 급락, 이후 평년 수준을 회복하였음. 
• 생표고의 5월 평균 도매가격은 4kg당 특품 39,484원, 상품 28,491원, 중품 17,719원, 하품 8,653원이며 중품 기준으로 작년 동기대비 10.0% 하락하였음. 
▷ 생표고의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 가격-원/4kg, 반입량-톤 
생표고의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표
| 년도 | 
구분 | 
4월 | 
5월 | 
6월 | 
 
| ’08 | 
특품 | 
30,225 | 
39,484 | 
(43,529) | 
 
| 상품 | 
20,833 | 
28,491 | 
(30,458) | 
 
| 중품 | 
13,177 | 
17,719 | 
(16,368) | 
 
| 하품 | 
6,896 | 
8,653 | 
(7,367) | 
 
| 반입량 | 
626 | 
528 | 
(57) | 
 
| ’07 | 
특품 | 
30,797 | 
38,412 | 
44,500 | 
 
| 상품 | 
20,910 | 
29,321 | 
32,126 | 
 
| 중품 | 
13,431 | 
19,678 | 
20,171 | 
 
| 하품 | 
7,413 | 
9,749 | 
10,751 | 
 
| 반입량 | 
611 | 
493 | 
436 | 
 
 
자료: 가락시장 
주: 6월은 3일까지의 자료임. 
■ 5월 동고 및 향신 입찰 가격은 상승 
• 생산량 감소와 수출업체의 물량 확보 경쟁으로 건표고 가격은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음. 특히, 동고 및 향신을 중심으로 상승하였음. 
• 5월 등급별 평균 가격은 3.75kg당 백화고 525,000원, 흑화고 286,000원, 동고 91,000원, 향고 82,000원, 향신 84,000원, 등외 43,000원이었음. 
▷ 건표고의 월별 평균 입찰가격 및 물량 
단위 : 가격-원/3.75kg, 물량-톤 
건표고의 월별 평균 입찰가격 및 물량 표
| 년도 | 
등급 | 
3월 | 
4월 | 
5월 | 
 
| ’08 | 
백화고 | 
540,000 | 
560,000 | 
525,000 | 
 
| 흑화고 | 
310,000 | 
350,000 | 
286,000 | 
 
| 동고 | 
71,000 | 
71,000 | 
91,000 | 
 
| 향고 | 
68,000 | 
89,000 | 
82,000 | 
 
| 향신 | 
67,000 | 
77,000 | 
84,000 | 
 
| 등외 | 
25,000 | 
42,000 | 
43,000 | 
 
| 입찰물량 | 
22.9 | 
79.6 | 
61.4 | 
 
 
자료 : 장흥 유치농협 
■ 6월 중순 이후 가격은 불안정할 듯 
• 5월말 급락한 생표고 가격은 평년 수준을 회복하였으나 배지배재 생산량 확대, 쇠고기 파동으로 인한 버섯 수요 감소 등으로 6월 중순 이후 가격은 불안정할 전망임. 
▷ 생표고(중품)의 일별 도매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 평년가격은 2003~2007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수출입 동향 및 전망> 
■ 5월 중국산 건표고 수입 증가 
• 5월 건표고의 수입량은 작년 동기대비 25.7% 증가하였음.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였고 일본 수출 물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임. 
• 북한산 건표고의 연간 반입 한도는 800톤으로 5월말 누계 반입량은 322톤이었음. 
• 조제표고는 작년 동기대비 16.8% 감소하였음. 
■ 6월 이후 건표고 수입은 중국산 위주로 
•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물량 부족으로 건표고 수입은 6월 이후에도 중국산 위주로 지속될 전망임. 
▷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수입실적 표
| 년도 |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5월누계 | 
 
| ’08 | 
생표고 | 
124 | 
32 | 
297 | 
41 | 
18 | 
(0) | 
 | 
 | 
 | 
 | 
 | 
 | 
512 | 
 
| 건표고 | 
466 | 
142 | 
196 | 
282 | 
282 | 
(66) | 
 | 
 | 
 | 
 | 
 | 
 | 
1,379 | 
 
| 북한산 | 
69 | 
14 | 
58 | 
134 | 
77 | 
(10) | 
 | 
 | 
 | 
 | 
 | 
 | 
322 | 
 
조제 
표고 | 
450 | 
204 | 
462 | 
603 | 
227 | 
(17) | 
 | 
 | 
 | 
 | 
 | 
 | 
1,945 | 
 
| ’07 | 
생표고 | 
73 | 
89 | 
11 | 
0 | 
22 | 
10 | 
15 | 
0 | 
8 | 
0 | 
10 | 
30 | 
195 | 
 
| 건표고 | 
217 | 
176 | 
105 | 
195 | 
224 | 
142 | 
142 | 
53 | 
105 | 
215 | 
278 | 
205 | 
918 | 
 
| 북한산 | 
108 | 
106 | 
36 | 
101 | 
137 | 
85 | 
34 | 
0 | 
0 | 
39 | 
165 | 
87 | 
488 | 
 
조제 
표고 | 
314 | 
394 | 
209 | 
575 | 
273 | 
329 | 
271 | 
203 | 
253 | 
391 | 
434 | 
440 | 
1,734 |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관세청(www.customs.go.kr) 
주 : 5,6월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자료를 기준으로 한 잠정 추계치이며 6월의 수입실적은 3일까지 자료임. 
■ 5월 건표고 수출은 소폭 증가 
• 중국산 건표고 수출 둔화 등으로 5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 동기대비 11.4% 증가하였음. 
• 생표고 수출량은 0.4톤으로 미미하였음. 
■ 6월 이후 건표고 수출은 증가할 듯 
• 향신 및 동고에 대한 일본, 홍콩 등 수입업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6월 이후 표고 수출량은 증가할 전망임. 
▷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요약 및 종합전망> 
■ 병해충, 여름철 철저한 자목관리 필요 
• 자목 병해충 발생률은 14.4%로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주로 발생, 장마에 대비한 자목 관리 필요 
■ 6월 중순 이후 가격은 불안정할 듯 
• 배지배재 생산량 확대, 쇠고기 파동으로 인한 버섯 수요 감소 등으로 6월 중순 이후 가격은 불안정할 전망 
■ 6월 이후 생산량은 감소, 품질은 떨이질 듯 
• 장마, 고온현상 등 기상 여건의 악화로 6월 이후의 생산량은 소폭 감소할 전망, 배지재배 반입량은 증가할 전망 
■ 6월 이후 건표고 수입은 중국산 위주로 
•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물량 부족으로 건표고 수입은 6월 이후에도 중국산 위주로 지속될 전망 
  
<6~7월 표고자목 관리요령> 
◇ 주홍꼬리 버섯 발생 
• 접종목이 건조하다는 표시이므로 한꺼번에 많은 물을 주지 말고 물주는 횟수를 늘려줄 필요가 있으며, 물뿌리기 후 바로 통풍을 시켜 수분이 접종목 표면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 푸른곰팡이 병 발생 
• 재배환경이 고온다습하다는 표시이므로 접종목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해 통풍이 잘되도록 하며, 장마철 비에 맞지 않도록 한다. 
◇ 나방 발생에 주의 
• 접종목을 방충망으로 덮어주거나 바닥에 생석회를 살포하여 접종목에 산란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방유인 전구를 설치하여 직접 잡아줄 필요가 있다. 
◇ 본눕히기 작업 실시 
• 접종목 마구리가 균사로 코팅되거나(균사무늬) 고무버섯이 발생하면 본눕히기를 해야할 시기이므로, 장작쌓기로 되어있던 접종목을 풀어 우물정(井)자나 베개목 쌓기로 전환하여 통풍과 균의 왕성한 생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제공 : 보령시 농업기술센터) 
  
이 「임업관측(밤, 표고버섯, 감, 대추)」은 산림청 지원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실이 재배자의 재배의향, 작황, 가격 등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한 후, 임업 및 통계 전문가들에 자문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전망 결과는 앞으로의 기상 및 수급여건의 변동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