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발 및 새로운 문제 해충 발생 실태조사
| 과제구분 | 
어젠다 | 
수행시기 | 
전반기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 
 돌발 해충 발생실태 및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 
 | 
작물보호 | 
’20~’24 | 
 환경농업연구과 
식물병해충팀 
 | 
이영수 | 
 
| 
 돌발 및 새로운 문제 해충 발생 실태조사 
 | 
작물보호 | 
’20~’23 | 
 환경농업연구과 
식물병해충팀 
 | 
김소희 | 
 
| 색인용어 | 
 돌발 해충, 남방계 해충, 실태조사 
 | 
 
 
 
-  
 
 
- □ 연구 목표
 
- 국내에서 농작물 생산 시 돌발 해충이나 남방계 해충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2006년부터 농경지에 대발생하기 시작한 꽃매미의 경우 포도 생산에 큰 피해를 끼쳤으며, 2010년에는 경북 영천 지역에서 포도 재배 농가가 약 300억 원 상당의 피해를 보았다. 이외에도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는 해마다 발생 면적이 증가하며 감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 인삼 등 초종이나 수종을 가리지 않고 넓은 기주범위를 가져 농작물 생산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의 생태 변화는 기후 변화로부터 야기 되는데 기온, 강수량 변화 등의 극단적인 기상현상 증가는 해충의 생활 주기 및 행동 패턴을 변화시키고 이는 식량 생산, 생태계 변화 등에 직접적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 미래의 한반도는 기후 변화 및 강수량의 증가로 아열대화가 지속되며, 폭염, 열대야 등 극한 기후 심화와 해수면 상승 가속이 전망되고 있어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분야 영향 및 취약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Shin et al., 2011; Kiritani, 2013).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충 관리를 위한 적응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되는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및 실태에 관한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며 지속적,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제47조 2항에 따라 농업·농촌분야의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를 추진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본 과제는 기후변화에 따른 경기지역 해충관리를 위한 대책 수립 자료로 활용하고자 도내 발생 돌발 및 남방계 해충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