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콩 생산 자동화 디지털농업 선도모델 개발 및 실증
과제구분 |
지역특화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경기북부 특화작물 경쟁력향상 재배기술 개발
|
전특작 |
’21~’24 |
소득자원연구소 |
박건환 |
콩 생산 자동화 디지털농업 선도모델 개발 및 실증
|
전특작 |
’23~’24 |
소득자원연구소 |
박지영 |
색인용어 |
콩, 디지털농업, 지중점적, 땅속배수
|
-
- □ 연구 목표
- 콩은 2024년 기준 재배면적은 74,018ha, 생산량은 154,954톤(국가통계포털, 2024)으로 우리나라의 농업의 중요한 작물이다. 국산 콩은 가격 경쟁력이 낮아 수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 10년(2015~2024년) 식용콩 기준 24~32만톤을 매년 수입하고 있다(농촌경제연구원, 2025). 콩 생산에 소요되는 직접생산비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60.4%, 2023년 53.0%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통계청, 2024) 콩은 국산 콩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통한 자급률 향상과 인건비 절약을 위한 생산 자동화 디지털농업이 요구되는 작물이다.
- 농촌 고령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심화로 노지 밭농업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할 대응책으로 밭작물 기계화율 향상과 안정적인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농업 기술이 떠오르고 있으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첨단 농업기술을 적용한 노지 스마트농업 콩 성능시험장(테스트베드)을 구축하고 지속해서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2021년 구축한 성능시험장에는 자동관수시스템, 지하수위제어시스템의 자동 물관리와 스마트트랩, 병해충방제와 관련된 개별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을 적용하였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도 가동하였다. 이후 2024년에는 콤바인에 부착할 수 있는 자율주행키트를 새로 추가해 기술 완성도를 높였다(농촌진흥청, 2024). 이러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이 등(2024)은 스마트농업기술을 기반으로 밭작물 안정 생산과 효율적 영농관리를 위한 노지 스마트팜을 구축하고 데이터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해 투입 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고, 논에서의 땅속배수, 작물생육, 환경 모니터링 등 분야별 요소기술의 현장 적용과 스마트농업 도입을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이를 각 도원의 성능시험장에서의 검증과 농가에서의 실증이 필요한 단계이다.
- 이로써 2023년부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농업 생력화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지 스마트 농업기술의 실용화 및 신속한 확산을 위하여 전국 9개도 농업기술원에 성능시험장을 구축해 스마트 기술을 검증하였고, 이에 경기도농업기술원도 참여하여 관·배수시스템 구축시험과 농가실증시험을 수행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