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보(모렐)버섯 안정생산 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본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소득유망버섯 육성 및 부가가치 향상 기술 개발

버섯 ’23~’24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최종인

곰보(모렐)버섯 안정생산 기술 개발

버섯 ’23~’24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최종인
색인용어

곰보버섯, 안정생산, 재배기술

 
□ 연구 목표
곰보버섯(Morchella sp.)은 자낭균문(Ascomycota), 술잔버섯강(Pezizomycetes), 주발버섯목(Pezizales), 곰보버섯과(Morchellaceae), 곰보버섯속(Morchella)으로 약로 80여종이 보고되었으며 재배 가능한 품종은 7종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곰보버섯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버섯으로 4월에서 5월중에 토양이나 밭이랑 또는 산불이 난 지역에서 발생되며 발생기간이 짧고 군생으로 발생된다(김 등, 2009).
곰보버섯은 식용 및 약용이 가능한 버섯으로 탄수화물 43.5%, 조단백질 29.7%, 조지방 3.8%를 포함하고 있으며(차 등 2004) 독특한 맛과 식감이 우수하여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고급요리에 이용되어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민 등, 2020). 또한, 다중 불포화 지방산, 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2차 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어 항당뇨병, 항암, 항염증, 항균, 항산화 및 간 보호 등의 약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dshah et al., 2021)
곰보버섯은 전통적으로 자연에서 채취되어 유통 및 판매되었으나, 1986년에 미국의 Ower 등(1986)에 의해 곰보버섯의 인공재배 방법에 대한 특허가 등록되면서, 이후 과학자들과 농업 연구자들이 다양한 인공재배방법을 개발하였다. 2000년대 이후 중국에서는 외부 영양원을 활용한 재배법이 개발되면서 상업적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이는 중국 농가에 새로운 소득원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Liu et al., 2018).
프랑스, 미국, 인도, 파키스탄, 터키 등에서도 중국의 재배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과 덴마크에서는 2021년도에 곰보버섯 실내 인공재배를 성공하면서 상업화를 위한 단계를 밟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곰보버섯 수집 균주의 유전적 유연관계, 종균 배양 및 재배 조건 설정을 위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나(양 등 2020, 이 등 2024), 현재까지는 국내에 적합한 인공재배 기술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버섯 재배는 주로 느타리버섯, 표고, 큰느타리버섯(새송이) 등 일부 품목에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소비자 기호를 충족하고 버섯 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해 곰보버섯과 같은 새로운 소득 창출 품목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