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고 안정생산 및 생력화 재배기술 개발
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표고 신품종 육성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버섯 |
’20~’24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김정한 |
표고 안정생산 및 생력화 재배기술 개발
|
버섯 |
’20~’24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김정한 |
색인용어 |
표고, 톱밥재배, 품종적합, 재배기술, 버섯수확후배지, 발효
|
-
- □ 연구 목표
- 표고(Lentinula edodes)는 특유의 향과 식감 그리고 감칠맛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에서 주로 생산되고 소비가 많은 버섯이다. 최근에는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등 서구 국가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표고에는 성인병 예방, 암세포 증식 억제, 고혈압, 당뇨병 및 혈압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항암작용과 면역조절에 관여하는 렌티난(lentinan), 혈액 중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에리타데닌(erithatenine), 체내에서 비타민D로 생성되어 칼슘의 흡수를 높여주는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등의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Chihara 등., 1970; Park 등., 2011; Park등., 2020).
- 국내 표고 생산량은 2023년 기준 17,157톤으로 새송이, 느타리, 팽이버섯 다음으로 많고, 생산액은 1,674억원으로 버섯 가운데 가장 높다(MAFRA, 2024; KFS, 2024). 표고는 국내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하여 중국으로부터 18,029톤이 수입되었고, 수입액은 36,647천불에 이른다. 또한, 중국으로부터 표고 완성형 배지(톱밥배지에 균접종과 배양이 완료된 배지) 수입량은 59,158톤이며, 경기도가 국내 완성형배지 수입량의 22%를 차지하고 있다(KATI, 2024). 이에, 국내품종 육성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보급으로 생산기반 확대와 수입의존도를 낮추어 국내 표고 산업을 지키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 표고 톱밥재배는 원통형배지를 세워 윗부분에 버섯을 발생시키는 상면재배(지면재배)와 원통형 배지를 눕혀 배지 상면과 측면에서 발생시키는 봉형재배로 구분되는데, 최근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고 중국 수입배지 형태인 봉형재배가 늘어나고 있다. 봉형재배는 배양 중 균사 배양과 갈변을 촉진하기 위하여 침공작업을 실시해야 하는데, 침공 방법이 수량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Kim 등., 2021). 또한, 표고 봉지재배는 느타리, 새송이, 팽이버섯의 병재배 방식보다 자동화율이 낮아 노동력이 비교적 많이 투입되고, 비닐, 솜, 접착용 테이프 등의 일회용 자재의 사용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성품종의 안정생산 기술개발과 더불어 한국형 톱밥재배법 개발을 위한 노동력 절감형 및 발효배지 활용 등을 개발하여 국산 표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