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용미생물의 작물 생육증진 및 토양개선효과 현장실증
과제구분 |
기본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농업미생물 자원 확보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미생물 |
’21~’27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문지영 |
유용미생물의 작물 생육증진 및 토양개선효과 현장실증
|
미생물 |
’24 |
친환경미생물연구소 |
문지영 |
색인용어 |
친환경농업, 미생물, 생육촉진, 토양미생물 군집
|
-
- □ 연구 목표
- 농업미생물은 친환경농업에서 화학비료와 농약을 대체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친환경 재배 농가에서 작물 생육촉진, 병해충 예방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식물 생육증진 미생물은 질소고정, 인산가용화, 식물호르몬 생성 등의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이 토양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적으로 유용한 살아있는 미생물을 활용한 제품이 바이오 비료(biofertilizer)이다. 광합성세균은 바이오 비료로 많이 활용되는 미생물 중 하나이며 옥신계열 식물호르몬 생성, 질소고정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배양상등액을 고농도로 논 유기재배 토양에 처리시 입단형성능이 높아지고 토양 보수력이 다소 개선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조정섭 등, 2008).
- 광합성세균은 작물 생육과 토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크며, 본 연구진은 유용한 광합성세균 균주를 수집할 목적으로 2021년에 경기도 양주시 소재의 원당저수지에서 로도박터 캡슐라터스(Rhodobacter capsulatus) 균주를 분리하였다. 기내검정과 작물 생육 생물검정 결과, IAA(indole-3-acetic acid) 및 사이드로포어 생성능이 우수하고 오이와 쑥갓의 증수효과를 나타내는 21NNW008 균주를 선발하여 특허기탁 하였다(기탁번호 KACC 81289BP). 본 연구는 해당 균주 배양액을 엽채류 재배시 처리하여 생육 증진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고, 해당 균주 처리에 의해 작물 생육 및 수량이 증가한다면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기도 주민참여예산 사업의 일환으로 도내 5시군 엽채류 시설재배 25농가에서 해당 유용미생물 처리에 의한 작물 생육증진과 근권토양 세균 군집구조 개선과의 연관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