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제 해충 딥러닝 영상정보 구축 및 방제제 선발
과제구분 기관고유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돌발 및 검역 병해충 발생실태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작물보호 ’24~’25 환경농업연구과 이영수

신문제 해충 딥러닝 영상정보 구축 및 방제제 선발

작물보호 ’24 환경농업연구과 이영수
색인용어

팔점날개매미충, 토마토뿔나방, 진단, 방제, 식물추출물

 
□ 연구 목표
세계적으로 병해충의 발생은 작물의 수확량 감소뿐만 아니라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침입 병해충에 대한 관리 비용은 1970년 이후 6년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Montgomery et al., 2023).
팔점날개매미충(Ricania speculum)은 주로 중국, 일본 등 아시아지역과 유럽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노린재목 해충으로 국내에는 최근에 유입되었으며(Choi et al., 2011; Park & Jung, 2021), 세계적으로도 농경지나 산림에서 33과 60종 이상의 다양한 목본성 기주식물에 대해 산란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감로 배출, 식물병 매개 등 2차 피해를 주고 있다(Rossi & Lucchi, 2015; Lee et al., 2020; Park & Jung, 2021). 최근에는 유럽 이탈리아에서 침입이 확인되면서(Mozza et al., 2014), EPPO(European public prosecutor’s office)에서는 13종의 주요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문제되고 있는 미국선녀벌레의 사례를 들면서 경계하고 있다(Rossi & Lucchi, 2015).
토마토뿔나방(Tuta absoluta)은 페루가 원산지인 나방류 해충으로 2006년 스페인에서 첫 발견 이후 2009년부터 인도, 중국, 일본 등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으며(Bloem & Spaltenstein, 2011), 국내에는 2024년에 첫 보고되었다(Lee et al., 2024). 기주식물로는 토마토, 감자, 담배 등으로 주로 가지과 작물(Solanaceae)에 피해가 집중되며, 특히 토마토의 경우 관리 소홀시 80~100%의 수량 감소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sneux et al., 2011). 피해는 유충이 잎은 물론 과실과 줄기 속으로 잠입하여 가해하기 때문에 수량 감소는 물론 작물 고사 등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Bloem & Spaltenstein, 2011; Acharya et al., 2023). 또한 화학농약에 대한 높은 저항성도 보고되어 있어 관행농가는 물론 친환경 토마토 재배지를 중심으로 큰 피해가 우려된다(Acharya et al., 2023; Lee et al., 2024).
따라서 본 연구는 신문제 해충인 팔점날개매미충과 토마토뿔나방에 대한 발생 및 피해 양상을 조사하고, 해충 발육단계별 형태 및 피해 이미지 수집을 통해 경기도 사이버식물병원 자가진단용 표준영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방제용 농자재를 선발함으로써 향후 화학농약 등록은 물론 친환경 방제를 위한 유기농업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