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국가관리 바이러스 분포조사 및 관리 매뉴얼 개발
과제구분 어젠다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현장애로 식물 임상진단 및 병해발생 실태조사

작물보호 ’17~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경기지역 국가관리 바이러스 분포조사 및 관리 매뉴얼 개발

작물보호 ’20~’24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색인용어

바이러스,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실태조사

 
□ 연구 목표
식물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난방제 식물병으로 기후변화, 국제교역 등으로 인한 특정 바이러스의 돌발적 발생 및 신규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국내 발생에 따라 매년 피해가 급증하는 상황이다. 돌발적 발생으로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TYLCV)에 감염된 토마토는 황화, 잎말림 및 위축 등의 증상을 나타내어 생육 초기에 감염되면 거의 수확을 할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준다(Cohen 등, 1964; Moriones 등, 2000). 박과작물의 경우 동일 장소에서 지속해서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온실 내에서 쉽게 확산되어 큰 피해를 입는다(Choi 등, 2004; Park 등, 1996). 국내에서는 박과작물에 보고된 주요 바이러스는 Zucchini yellow mosaic virus(ZYMV), Watermelon mosaic virus(WMV), Melon necrotic spot virus(MNSV),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CGMMV), Cucumber mosaic virus(CMV), Papaya ringspot virus(PRSV) 등이 있다(Ko 등, 2004; Kim 등, 2012; Han 등, 2023; Jin 등, 2023). 최근에는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CABYV), Cucurbit chlorotic yellows virus(CCYV), Melon aphid-borne yellows virus(MABYV) 3종이 추가로 발생하였다(Byun 등, 2022). CABYV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충북 음성군과 진천군 멜론재배지에서 감염률이 53.9%에서 92.2%로 발생이 보고되었고, 일부 농가는 이러한 바이러스 때문에 멜론 농사를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한 등, 2023). 또한 고추에서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저항성 품종에서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저항성 유전자 Tsw에 저항성을 극복하는 TSWV-RB 변종이 발생하여 다중 RT-PCR(Reverse-transcription PCR) 진단법이 개발 되었다(권 등, 2022). 이와 같이 농업환경 등 지역별 재배작목의 다양화로 주위의 다양한 기주 간 감염이 발생하면서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변이, 적응성 강화 및 기주범위 광역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역별 주요 재배 작물의 종류가 상이하고, 이러한 작물들에서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들 또한 각각 다르므로, 각 지역별로 주요 문제 바이러스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주요 바이러스에 대한 지역, 작물별 바이러스 정밀조사로 바이러스 위험도평가 기초자료 활용 및 도내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해를 줄이고자 수행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