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작물 실태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구분 |
기관고유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지속가능 농업경영 분석연구
|
농업경영 |
’23 ~ ’24 |
작물연구과 |
이원석 |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작물 실태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
농업경영 |
’23 ~ ’24 |
작물연구과 |
이원석 |
색인용어 |
기후변화, 작물, 실태조사, 아열대작물
|
-
- □ 연구 목표
- 기후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가뭄, 홍수, 병해충 등에 따른 인적, 경제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범위와 피해가 커지고 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인간 활동으로 기후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주요 원인으로 화석연료 사용 및 산업 공정의 이산화탄소 배출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한다.
- 2021년 3월 정부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제3차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발표하였다. 내용은 물관리, 생태계, 국토․연안, 농수산, 건강, 산업․에너지 등 6개 부문으로 통합하여 적응 대책을 구성하였으며, 정책의 추진과 실현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이행주체인 광역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 특히 경기도는 국가의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부문별 대상으로 세부시행계획을 구축하였으며, ‘제3차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맞춰 31개 시․군의 기후변화 영향성 및 취약성 평가를 진행하여 세부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그리고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경기도 기후변화 대비 작물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2021.10. 6.)하였다.
- 기후변화와 관련한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농업 분야에 있어서 기후변화에 대비한 작물의 육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경기도 주요 재배작물의 변동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안정적 재배를 위한 대응 방안을 찾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재배가 어려워지는 작물과 원인, 그리고 새롭게 재배가 가능해지는 작물의 성장가능성 분석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