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제안] Suggestion on the Support for High-quaility seed of Garic in Ichen-si 마늘 종구갱신 및 증식기반 조성 사업제안배경
이천 내 ‘홍산’ 마늘 재배 증가로 추후 출하 규모화를 위해 품종 일원화가 필요종구 확보 방법으로는 일반재배 농가의 경우 주로 자가 채종(92.4%)을 통해 종구를 확보하고 있어 바이러스에 의한 종구 퇴화가 우려되고, 친환경재배 농가는 공동구매 (43.8%)를 통한 종구 확보로 종구비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나 우량종구 지원이 필요함** 마늘 재배농가의 생산비(4,204천원) 중에서 종구비(861천원)가 약 20.5% 점유(2023년 농산물 소득자료집) 제안내용
제안부서: 이천시 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단기] 마늘 우량종구 갱신을 위한 종구(씨마늘, 주아) 구입비 지원– 지원대상: 이천시 관내 마늘 재배 농가 중 홍산 주아수매 희망농가– 지원내용: 홍산 우량종구 구입비 20,000원/kg 지원– 사업비 / 사업량: 30,000천원(시비 50%, 자부담 50%) / 1,500kg* 마늘 수급동향 및 시장가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중기] 마늘 주아재배 시범농가 육성 지원사업– 지원대상: 주아재배 희망 농가– 지원기준: 개소당 330㎡(100평)– 지원내용: 종구 소독용 농자재 등 주아재배 소요자재– 사업비 / 사업량: 10,000천원(시비 75%, 자부담 25%) / 5개소– 기준단가: 2,000천원/개소(시비 1,500, 자담 500) 
에케베리아 깍지벌레 피해 사진
| 주아 채취 및 파종 | → 1년차 | 인편․통마늘 수확 및 파종 | → 2년차 | 마늘 수확 또는 인편 재파종 | → 3년차 | 마늘 수확 |   ※ 재배기술에 따라 2작기(3년차)가 소요되는 생장을 1작기(2년차)로 축소 가능   기대효과
고품질 마늘 생산을 위한 우량종구 보급률 향상이천 마늘 품질 및 수량 향상으로 농가 소득 증대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연진, 031-8008-9293, boong03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