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Commercialization of ‘Soy Milk’ Using Soybean Varieties Developed by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육성 콩 이용 ‘마시는 콩즙’ 상품화 연계 사업
제안배경
- 전략작물직불제와 신품종 콩 재배 시범으로 전국적 논콩 생산이 증가 추세임
- 건강을 우선시하는 소비트렌드에 대응 콩즙, 두유 등 식물성 밀크 시장 성장세
- 포천콩연구회 중심으로 경기도 육성 강풍콩 재배 확대를 원하나 농협수매에 어려움
제안내용
- 제안부서: 포천시(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
- (콩즙용 기능성 콩 생산) 포천시콩연구회 중심으로 콩즙용 기능성 콩 생산단지 운영
- – 포천콩 이용 가공, 판매, 브랜드화로 고소득 특화작목으로 육성 필요
- – 콩연구회는 기후변화 대응 고품질 콩 생산: 흰콩(강풍콩) + 검정콩(연천41호)
- – 강풍콩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필요시(건강기능 효과) 검정콩(함량 20%) 추가
- (마시는 콩즙 상품화) 경기도 육성 콩 이용한 ‘마시는 콩즙’ 시범 상품화
- – 콩즙용 기능성 콩 생산-상품화 연계 사업 협력 체계 구축
- · 도농업기술원(소득자원연구소), 기술센터, 콩연구회, 식품업체 등
- – 포천시 식품가공업체와 연계한 콩즙 상품화 및 유통: 하나로마트 및 로컬매장
- – 기존 시판되고 있는 콩물과 달리 ‘마시는 콩즙’ 맞춤 용기 및 포장재 적용
- – 마시는 콩즙용 적정 용량 설정, 용기 포장재 디자인 등
- – 기존 굵은 입자의 콩물 대비 촘촘한 거름망 이용 부드러운 맛으로 상품화
- – 마시는 콩즙에 대한 소비자 반응 등 시장 조사에 의한 개선방안 도출
기대효과
- 콩즙용 기능성 콩 생산과 지역식품업체 연계로 신소득원 개발과 농가소득 증대
- – 지역내 식품가공업체와 협력하여 마시는 콩즙 제조 및 소비처 판매 확대
- 경기도 육성 강풍콩 생산과 연계한 콩즙 상품화로 선순환 생산-유통 기반 마련
- – 원료곡 이용 가공, 판매, 브랜드화로 고소득 특화작목으로 육성 필요
- – 포천시콩연구회, 지역식품업체 등이 연계하여 콩 생산과 유통 사업화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원석, 031-8008-9292, born81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