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농활용] The Effect of Empirical Cultivation of Double Cropping System by Oats and Soy-Paste Bean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경기북부지역 쌀귀리-장류콩 이모작 작부체계 실증재배 효과연구배경
쌀귀리의 안정적인 생산과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이모작 재배 기술 도입 필요경기북부지역 쌀귀리-장류콩 작부체계 실증재배 효과에 대한 기술보급 필요 주요 연구성과
작부체계: 쌀귀리 조양을 3월상순 파종, 6월 25일경 수확 → 장류콩 선유2호 또는 만풍을 6월 30일 파종, 10월말 수확 
인삼 재배(예정)지 뿌리썩음병 원인균 진단 결과(2024)
| 3월 | ~ | 6월 | 7월 | ~ | 10월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 파종 | 쌀귀리 재배 | 수확 |   |   |   |   |   |   |   |   |   |   |  
|   |   |   |   |   |   |   |   | 파종 | 장류콩 재배 | 수확 |    
쌀귀리-장류콩 이모작 작부체계에 따른 소득(단위: 천원,10a) 
인삼 재배(예정)지 토양화학성 진단 결과(2024) 
| 작부조합 | 쌀귀리 소득 | 장류콩 소득 | 소득액 (a+b)
 | 소득지수 (%)
 |  
| 전작물 (쌀귀리)
 | 후작물 (장류콩)
 | 수량 (kg)
 | 조수입 | 경영비 | 소득 (a)
 | 수량 (kg)
 | 조수입 | 경영비 | 소득 (b)
 |  
| 조양 | 만풍 | 320 | 688 | 296 | 392 | 192 | 921 | 485 | 436 | 828 | 160 |  
| 선유2호 | 320 | 688 | 296 | 392 | 170 | 815 | 485 | 330 | 722 | 139 |  
| 대양 | 만풍 | 305 | 686 | 296 | 390 | 191 | 916 | 485 | 431 | 821 | 158 |  
| 선유2호 | 305 | 686 | 296 | 390 | 172 | 825 | 485 | 340 | 729 | 141 |  
| 콩 단작(대비) |   |   |   |   | 209 | 1,002 | 485 | 518 | 518 | 100 |    기대효과
쌀귀리-장류콩 이모작 재배시 콩 단작대비 소득 39~60% 증대– 소득(천원/10a): 쌀귀리/만풍콩(828), 쌀귀리/선유2호(722), 콩단작(518)신소득작목(쌀귀리) 작부체계 도입으로 경기북부지역 경지이용율 제고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박건환, 031-8008-9519, ghpark21@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