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농활용] Selection of Eco-friendly Autumn Potato Cultivars for Public Meals in Gyeonggi Province 경기지역 적합 친환경 가을감자 품종 『금선』, 『추원』연구배경
감자는 경기도 학교급식 납품량 1위를 차지하는 주요 품목임봄감자 위주의 생산으로 품종, 가을재배 출현율 제고 등 가을감자 생산기반 구축 필요 주요 연구성과
품종별 출현율, 지상부 생육 및 괴경의 수량, 상품성, 병해·생리장해 발생 비율, 전분함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내 친환경 가을감자 품종으로 『금선』, 『추원』 품종이 적합하였음품종별 출현율 및 수량 
품종별 출현율 및 수량
| 품 종 | 출현율(%) | 괴경무게 (g/주)
 | 괴경수 (개/주)
 | 괴경수량분포(%) | 총서중 (kg/10a)
 | 상서중 (kg/10a)
 | 상서율 (%)
 |  
| 30일 | 40일 | 60일 | > 200g
 | 130∼ 200g
 | 130g <
 |  
| 추 백 | 64.3 | 64.3 | 71.6 |  699.0ns |  7.1ab | 10.0 | 17.0 | 73.0 |  4,433ns |  2,050ns  | 46.3 |  
| 금 선 | 68.9 | 76.5 | 77.4 | 706.1 | 7.5a |  6.8 | 16.2 | 77.1 | 4,469  | 2,276  | 49.7 |  
| 은 선 | 26.5 | 30.2 | 31.9 | 651.1 |  6.3bc | 13.4 | 17.5 | 69.2 | 4,143  | 2,279  | 50.4 |  
| 추 원 | 64.1 | 69.0 | 69.6 | 643.8 | 6.1c |  7.2 | 23.2 | 69.6 | 4,050  | 2,355  | 58.2 |  ※ 1년차(2023)∼2년차(2024) 평균 출현율, 수량 ※ 파종후 80일 수확 기준 수량조사, 친환경 학교급식 납품기준(상품성): 130g 이상 최고등급, 상서: 80g 이상   
품종별 특성
|   | 
 | 
 | 
 |  
|   | 【추 백】 | 【금 선】 | 【추 원】 |  
| (표피색) | 담황 | 담황 | 황색 |  
| (육색) | 흰색 | 담황 | 흰색 |  
| (눈깊이) | 중간 | 얕음 | 얕음 |    
괴경 양분함량
| 품 종 | 건물율(%) | 비중 | 전분(%) | 단백질(%) | 수분(%) | 환원당 |  
| 추 백 | 16.6 | 1.06 |  9.5 | 8.4 | 83.5 | 0.45 |  
| 금 선 | 20.5 | 1.08 | 13.7 | 7.8 | 79.6 | 0.09 |  
| 은 선 | 17.9 | 1.07 | 10.9 | 9.2 | 82.1 | 0.06 |  
| 추 원 | 18.2 | 1.07 | 11.2 | 8.2 | 81.8 | 0.21 |  ※ 환원당 함량(g/100g): Glucose, Fructose 함량   기대효과
경기 지역 가을재배 적합 감자 품종 선발에 따른 연중 안정적인 감자 생산경기도 공공급식 친환경 가을감자 생산 확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장재은, 031-8008-9482, jje1049@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