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농활용] Chemical Information of Eco-Friendly Radish Cultivation Fields in Gyeonggi-do 경기도 친환경 무 재배 밭토양 화학성 정보연구배경
경기도 학교급식 친환경 무는 관내 수급 비중이 높은 편이나, ’23년에는 이상기후로 인해 비상품과 비율이 증가함무 공동현상의 원인은 생육기 고온, 특정 영양성분의 결핍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재배지 토양화학성 등 정확한 원인 진단과 해결을 위한 자료 필요 주요 연구성과
봄 재배 밭토양(12지점): 유효인산, 칼륨, 붕소 적정 관리가 요구됨– 유효인산은 대부분의 농가가 적정 범위보다 1.4~3.7배, 칼륨은 적정 범위보다 1.2~3.1배 더 높았으며, 붕소는 필요량의 32~72배 높았음가을 재배 밭토양(7지점): 유효인산, 칼슘, 붕소 적정 관리가 요구됨– 유효인산은 적정 범위보다 1.6~2.0배, 칼슘은 대부분의 농가가 적정 범위보다 1.2~3.4배 더 높았으며, 붕소는 필요량의 72~88배 높았음친환경 무 재배 밭토양 화학성 
친환경 무 재배 밭토양 화학성
| 작기 | pH (1:5)
 | EC (dS/m)
 | OM (g/㎏)
 | P2O5 (㎎/㎏)
 | NO3-N (㎎/㎏)
 | K (cmol/㎏)
 | Ca (cmol/㎏)
 | Mg (cmol/㎏)
 | B (㎎/㎏)
 |  
| 봄 | 평균 | 6.6  | 1.1  | 32  | 905  | 35.8  | 1.26  | 6.6  | 1.8  | 24.3  |  
| 최대 | 7.7  | 3.3  | 60  | 1,681  | 113.7  | 2.17  | 12.2  | 2.8  | 36.0  |  
| 최소 | 5.1  | 0.3  | 7  | 173  | 1.7  | 0.33  | 4.3  | 0.8  | 16.0  |  
| 가을 | 평균 | 6.5  | 2.4  | 21  | 598  | 145.5  | 1.02  | 9.9  | 2.4  | 39.4  |  
| 최대 | 7.7  | 5.8  | 39  | 897  | 377.7  | 2.13  | 20.1  | 4.5  | 44.1  |  
| 최소 | 5.2  | 0.7  | 6  | 208  | 47.2  | 0.18  | 3.4  | 0.8  | 35.9  |  
| 적정 범위* | 6.0- 6.5 | 2  이하 | 20- 30 | 350- 450 | 50- 150 | 0.60- 0.70 | 5.0- 6.0 | 1.5- 2.0 | 0.5  이상 |  *출처: 농촌진흥청 작물별 비료사용처방   기대효과
공동현상 등 생리장해 원인 파악과 재배지 토양화학성 개선으로 친환경 무 안정생산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 문지영, 031-8008-9484, mjy11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