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Microbial community of Orchard Soil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과수원 토양미생물 분포

연구배경

  • 과수원 환경조건별 미생물 다양성 변화에 대한 자료축적 및 토양미생물 군집구조 정보 제공 필요

주요 연구성과

  • 과수원 토양(29지점)의 세균 다양성
  • – 경기도 과수원 토양의 종 풍부도 추정치와 다양성지수는 전국 평균보다 높음
  • – 우점 세균(문(phylum)): Proteobacteria(30%), Actinobacteria(18%), Acido-bacteria(15%), Firmicutes(10%), Planctomycetes(5%)
  • 곰팡이 다양성
  • – 우점 곰팡이: Ascomycota(49%), Basidomycota(16%), Mortierellomycota(15%)
과수원 토양(29지점)의 세균 다양성
지역 통계 세균 곰팡이

우점하고 있는 세균 종류

종풍부도 추정치 ACE 다양성지수 Shannon 종풍부도 추정치 ACE 다양성지수 Shannon

경기

평균

5,425

6.9

940

4.2

최소

3,049

6.2

436

3.1

최대

6,998

7.2

1,216

5.0

전국

평균

4,760

6.6

875

4.0

최소

252

3.4

20

1.4

최대

7,481

7.2

1,450

5.5

【경기지역 과수원 토양미생물의 다양성】

【우점하고 있는 세균 종류】

 

기대효과

  • 미생물적 토양질 평가를 통한 토양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농경지 토양미생물의 생물·지리·화학적 분포 및 특성에 대한 DB 구축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 문지영, 031-8008-9484, mjy1123@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