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농활용] Effects of Rhodobacter capsulatus KACC 81289BP on the Growth Promotion of Leaf Vegetables 광합성균(KACC 81289BP)의 엽채류 생육증진 효과연구배경
식물호르몬 생성 우수 광합성균(로도박터 캡슐라터스 KACC 81289BP) 개발다양한 농가 환경에서 유용미생물의 작물 생육 증진 효과 구명 필요 주요 연구성과
사용방법: 유묘기~생육초기 배양액을 물에 100배 희석하여 살포, 자외선이 강한 시간대는 피하고 대기가 정체된 이른 아침이나 저녁이 좋음대상작물: 상추(적상추, 청상추, 로메인), 아욱, 케일광합성균 처리구의 미처리구 대비 생육 및 수량 증가율(%) 
광합성균 처리구의 미처리구 대비 생육 및 수량 증가율(%)
| 작목 | 초장 | 엽수 | 엽폭 | 상품수량 |  
| 상추 | ▲ 8.3(4.8~12.6)* | ▲ 13.8(6.3~24.6) | ▲ 13.9(5~25) | ▲ 12.5(8~22) |  
| 아욱 | ▲ 48.3(7.1~72.8) | ▲ 18.5(8.8~34.9) | ▲ 16.3(10.6~24.2) | ▲ 11.0(2~30) |  
| 케일 | ▲ 8.0 | ▲ 16.1 | ▲ 12.9 | ▲ 11.8 |  
상추(적상추), 아욱 실증농가
| 
 | 
 |  
| 【상추(적상추) 실증농가】 | 【아욱 실증농가】 |    기대효과
엽채류(상추, 아욱, 케일) 재배 시 광합성 미생물 살포로 농가소득 증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 문지영, 031-8008-9484, mjy11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