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Control Techniques for Myzus persicae on Eggplant Using Aphidius gifuensis
싸리진디벌을 이용한 가지 복숭아혹진딧물 방제기술
연구배경
- 진딧물 기생성 천적인 싸리진디벌을 이용하여 가지에 발생하는 복숭아혹진딧물 방제
- 복숭아혹진딧물에 선택성이 높은 싸리진디벌 이용으로 방제수단의 다양화 및 효율 증대
주요 연구성과
- 가지에 발생하는 복숭아혹진딧물 방제를 위한 싸리진디벌의 적용
- ① 가지 복숭아혹진딧물류 밀도수준: 약 100마리 이하(발생 초기)
- ※ 진딧물 밀도가 높은상태에서 천적 투입시 효율이 감소하므로 밀도가 낮은 초기에 방사하는 것이 좋음
- ② 싸리진디벌 투입밀도: 1:20비율 이상(진디벌:진딧물) 
- ③ 투입간격: 10~20일 간격으로 2회
- ※ 천적투입 후 진딧물류 밀도를 확인하며 추가투입 여부 결정
파 노균병 피해증상 영상정보
| 
 | 
 | 
| 【20일차 진딧물 마리수】 | 【40일차 진딧물 마리수】 | 
| – 20일차 방제가(%) | – 40일차 방제가(%) | 
| 처리 | 1:20 | 1:10 | 1:5 | 처리 | 1:20 | 1:10 | 1:5 | 
| 방제가 | 79.7 | 82.9 | 94.0 | 방제가 | 96.2 | 97.0 | 99.6 | 
※ 진딧물 초기 처리밀도: 100마리
※ 20일차에 진디벌 추가 방사
 
기대효과
- 가지에 발생하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기생성 천적인 싸리진디벌 활용 방제 기술 제공으로 방제수단 다양화 및 효율성 증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윤승환, 031-8008-9369, ysh1986@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