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Occurrence of the Black Planthopper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신문제 팔점날개매미충 발생 특성과 방제용 유기농업자재
연구배경
- 팔점날개매미충에 대한 진단 및 방제정보 제공을 통한 피해 최소화
주요 연구성과
팔점날개매미충 형태적 특성

|

|

|
【(월동)난괴】
|
【약충】
|
【성충】
|
- 기주식물: 38과 70속 74종
- – 피해우려 작물: 복숭아, 사과, 매실, 체리, 살구, 배, 자두, 장미, 포도 등
- 유기농업자재 이용 방제
- – 방제요령: 약충 발생기(6월 상중순) 경엽처리
유기농업자재 이용 방제
제품명 |
주 요 성 분 |
깍○
|
카란자오일 65%, 보조제 35%
|
노린재○
|
고삼추출물 70%, 에틸알콜 28%, 제충국추출물 2%
|
뉴응칠○
|
유칼립투스오일 30%, 고삼추출물 50%
|
올캐○
|
고삼추출물 40%, 에틸알콜(발효주정) 40%
|
은총○
|
커스터드애플시드오일 50%, 계피추출물 10%
|
라바○
|
님추출물 60%
|
응팔○
|
시트로넬라오일 40%, 계피추출물 25%
|
진○
|
시트로넬라오일 30%, 데리스추출물 20%, 계피추출물 10%
|
청충불○
|
고삼추출물 90%
|
충식○
|
식물추출물 25%, 정향추출물 25%
|
페스트○
|
님추출물 62%
|
J-인섹○
|
식물추출물(데리스) 70%
|
기대효과
- 신문제 해충 팔점날개매미충의 조기진단 및 방재용 유기농업자재 선발로 친환경 방제 가능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이영수, 031-8008-9354, yslee7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