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Prediction and Management Plan for Fire Blight Infection during Pear Flowering Period

과수화상병 배 개화기 꽃감염 예찰 및 관리 방안

연구배경

  • 개화기 과수화상병의 확산 방지를 위해 관리과원의 꽃감염을 조기에 확인하고 세밀하게 관리를 하는 것이 과수화상병이 확산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

주요 연구성과

  • 개화기 과수화상병 예측 서비스(http://fireblight.org)와 연계한 방제
  • –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입상수화제(34%),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20%), 옥솔린산 수화제(20%) 3종 체계처리시 방제효과 95.2%
개화기 과수화상병 예측 서비스(http://fireblight.org)와 연계한 방제
처 리 내 용 -1일 개화 30~40%
104cfu/ml
1차 접종 후 일수 방제효과(%)
1일 2일 3일 개화 90%
106cfu/ml
4일 5일 6일

체계처리 3회 A

1

 

2

 

 

94.4

체계처리 3회 B

 

 

 

95.2

체계처리 2회(3일 간격)

 

 

 

 

85.5

체계처리 2회(5일 간격)

 

 

 

 

82.4

대조(3일 간격)

 

 

 

 

94.6

대조(5일 간격)

 

 

 

 

79.7

※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입상수화제(34%,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20%, ●), 옥솔린산 수화제(20%, ■)

※ 방제가: 2차 접종(4. 14.) 4주 후 조사, 시험 과종: 배(신고 3년생)

 

  • 관리과원 무병징 꽃감염 Real-time PCR 검정
  • – 배꽃 암술·수술 분리 → TSB배지, 24℃, 24H 배양 → Real-time PCR 실행
  • 개화기 꽃감염 예찰
  • – 과수화상병 예측 서비스 꽃 감염 위험도 3단계 이상 첫 발생 11일 이후 예찰
개화기 꽃감염 예찰

꽃 감염

꽃, 화경 감염

꽃, 과대아 감염

화총, 주변 신초 수침상

【꽃 감염】

【꽃, 화경 감염】

【꽃, 과대아 감염】

【화총, 주변 신초 수침상】

【꽃감염 단계별 병징】

 

기대효과

  • 배 개화기 꽃감염 예찰 및 방제로 과수화상병 확산 방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031-8008-9354, cjy7165@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