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Income Information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Sweet Pumpkin in Gyeonggi-Do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단호박 소득 정보
연구배경
- 친환경농업은 생물 다양성 증진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에 기여하지만 관행농업에 비해 생산비 소요가 많아 친환경농업 확산에 어려움이 있음
- 경기도 친환경 단호박의 소득 정보를 제공하여 농가 경영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주요 연구성과
친환경 단호박 조사대상 농가 일반현황
재배유형 |
농가수(호) |
연령(세) |
총영농경력(년) |
조사작목영농경력(년) |
단호박 크기별 분류(%)1) |
생산량(㎏/10a) |
인증유형(%) |
소과 |
중과 |
대형 |
유기 |
무농약 |
친환경재배 |
152)
|
58.5
|
17.9
|
6.6
|
2.5
|
22.1
|
75.4
|
1,491
|
0.0
|
100.0
|
일반재배 |
11
|
61.8
|
26.1
|
11.6
|
20.2
|
79.4
|
0.4
|
1,386
|
–
|
–
|
1) 단호박 품종에 따라 소과: 500g내외, 중과: 1~1.2kg, 대형: 1.5kg 이상
2) 경기도 내 학교급식에 출하하는 농가 19호 중 15호에 대해서 조사를 진행함
- 친환경 단호박 10a당 수익성
- (기준: 원/10a/1기작)
친환경농산물 채소 소득조사 항목 및 구성
구 분 |
친환경재배(2023)(A) |
일반재배(2023)(B)1) |
비율(A/B) |
호당 평균 경영규모(ha) |
1.59
|
1.06
|
–
|
총수입 |
수량(㎏/10a)2) |
1,491
|
1,246
|
–
|
단가(원/㎏) |
2,047
|
1,386
|
147.7%
|
금액(원/10a) |
3,051,494
|
1,731,179
|
176.3%
|
비용 |
중간재비 |
862,178
|
683,630
|
126.1%
|
경영비 |
1,765,507
|
875,783
|
201.6%
|
생산비 |
2,425,232
|
1,553,869
|
156.1%
|
수익 |
부가가치 |
2,189,316
|
1,047,549
|
209.0%
|
소득 |
1,285,987
|
855,396
|
150.3%
|
순 이 익 |
626,262
|
177,310
|
353.2%
|
소득률(%) |
42.1
|
49.4
|
–
|
생산성 |
노동생산성(원/시간) |
8,352
|
30,016
|
27.8%
|
토지생산성(원/10a) |
2,189,316
|
1,047,549
|
209.0%
|
㎏당 생산비(원) |
1,764
|
1,247
|
141.5%
|
10a당 노동시간(시간) |
61.5
|
34.9
|
176.2%
|
1) 2023 지역별 농산물 소득 자료(농촌진흥청, 2024), 경기 노지단호박
2) 품종에 따른 크기 비중이 상이(친환경 대형단호박 75.4%, 일반 중과단호박 79.4%)하여 단순 비교 시 주의 필요
기대효과
-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작목별 생산비, 소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인의 효율적인 경영개선 및 친환경농업 활성화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연진, 031-8008-9293, boong03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