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Income Information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White radish in Gyeonggi-Do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무 소득 정보
연구배경
- 친환경농업은 생물 다양성 증진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에 기여하지만 관행농업에 비해 생산비 소요가 많아 친환경농업 확산에 어려움이 있음
- 경기도 친환경 무의 소득 정보를 제공하여 농가 경영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주요 연구성과
친환경 무 조사대상 농가 일반현황
재배유형 |
농가수(호) |
연령(세) |
총영농경력(년) |
조사작목영농경력(년) |
재배시기(%) |
생산량(㎏/10a) |
인증유형(%) |
봄 |
가을 |
유기 |
무농약 |
친환경재배 |
291)
|
62.9
|
26.1
|
9.9
|
13.8
|
86.2
|
4,708
|
3.4
|
96.6
|
일반재배 |
12
|
63.6
|
28.3
|
22.0
|
–
|
100
|
4,893
|
–
|
–
|
1) 도내 학교급식에 출하 농가 30호 조사 후 이상치 1농가를 제외한 29호에 대한 결과 분석
- 친환경 무 10a당 수익성
- (기준: 원/10a/1기작)
친환경농산물 채소 소득조사 항목 및 구성
구 분 |
친환경재배(2023)(A) |
일반재배(2023)(B)1) |
비율(A/B) |
호당 평균 경영규모(ha) |
0.31
|
0.18
|
–
|
총수입 |
수량(㎏/10a) |
4,708
|
4,893
|
96.2%
|
단가(원/㎏) |
1,027
|
979
|
104.9%
|
금액(원/10a) |
4,834,685
|
4,792,255
|
100.9%
|
비용 |
중간재비 |
1,448,242
|
875,169
|
165.5%
|
경영비 |
2,218,976
|
1,165,112
|
190.5%
|
생산비 |
3,893,822
|
2,439,910
|
159.6%
|
수익 |
부가가치 |
3,386,443
|
3,917,086
|
86.5%
|
소 득 |
2,615,709
|
3,627,143
|
72.1%
|
순 이 익 |
940,863
|
2,352,345
|
40.0%
|
소득률(%) |
54.1
|
75.7
|
–
|
생산성 |
노동생산성(원/시간) |
35,436
|
61,204
|
57.9%
|
토지생산성(원/10a) |
3,386,443
|
3,917,086
|
86.5%
|
㎏당 생산비(원) |
962
|
499
|
192.8%
|
10a당 노동시간(시간) |
99.7
|
64.0
|
155.8%
|
1) 2023 지역별 농산물 소득 자료(농촌진흥청, 2024), 경기 노지가을무
기대효과
-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작목별 생산비, 소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인의 효율적인 경영개선 및 친환경농업 활성화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연진, 031-8008-9293, boong0323@gg.go.kr
|